교육부, 성희롱 예방교육 참석률 꼴찌… 장관도 불참

교육부, 성희롱 예방교육 참석률 꼴찌… 장관도 불참

입력 2013-07-10 00:00
업데이트 2013-07-10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6% 그쳐… 공기관 평균은 86%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통틀어 지난해 성희롱·성매매 예방교육 실적이 가장 저조한 곳은 교육부로 유일하게 10%대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교육부는 당시 장관(이주호)도 성희롱 예방교육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예산정책처가 9일 발표한 ‘2012 회계연도 재정사업 성과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의 성희롱 예방교육 참석률은 86.1%, 성매매 예방교육 참석률은 91.2%였다. 하지만 일부 공공기관의 예방교육 참석률은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정책처가 여성가족부에서 운영하는 공공기관 성희롱·성매매 예방 통합관리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성희롱 예방교육 참석률이 가장 낮은 국가기관은 교육부(16%)다. 이어 농림축산식품부(24%), 국민권익위원회(44%), 조달청(48%)순으로,참석률 50%를 넘지 못했다.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경상남도(37%)가 참석률이 제일 낮았다. 두 번째로 낮은 대전시(72%)와 큰 차이를 보였다.

성매매 예방교육 부문에서도 교육부(16%)가 국가기관 중 참석률이 최하위였다. 광역단체 중에서는 광주시(34%), 울산시(40%), 경상남도(41%) 순으로 참석률이 낮았다.

성희롱·성매매 예방교육은 온라인, 오프라인 방식 모두 가능하다. 여가부도 참석률을 집계할 때 오프라인과 더불어 온라인 교육 참석률까지 포함시킨다. 때문에 직원 수가 많아서 참석률이 낮았다는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여가부 관계자는 “전 직원이 모이기 힘든 상황을 고려해 사이버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면서 “결국 예방교육 참석률은 해당 기관의 의지와 노력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3-07-10 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