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대책 재탕·삼탕… 교사 잡무만 늘려”

“기존 대책 재탕·삼탕… 교사 잡무만 늘려”

입력 2013-07-24 00:00
업데이트 2013-07-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 현장 반응

정부가 1년 5개월 만에 내놓은 학교폭력 대책을 놓고 현장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에선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 비판적인 의견이 많았다.

박범이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회장은 “어울림 프로그램을 학교교육 과정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현재 교육과정만 해도 시간이 빡빡하게 짜여 있다”면서 “지금도 교사들의 수업 외 업무들이 많아 시간적, 물리적으로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학교폭력은 부모의 경제소득 수준과 연관되는 등 인과관계가 복잡하다”면서 “부처 합동 대책임에도 분석이 면밀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이경자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 상임대표는 “지난 대책보다 방대하지만 근본 대책은 빠져 있다”면서 “꿈 키움 학교 선정, 어울림 프로그램 보급과 같은 대책들은 교사들에게 잡무만 늘리는 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근본적 대책은 교사들이 학생들과 눈을 맞추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교원단체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각각 다른 입장을 내놨다.

보수 성향 교원단체인 한국교총의 김무성 대변인은 “기존 대책에서 사각지대를 없애려고 애쓴 노력이 보이고 대체적으로 공감한다”면서 “시·도별 공립형 대안학교 신설 방안도 심층적인 교육과 돌봄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진보 성향인 전교조는 “현장 중심 대책이라고 표현하기 민망할 정도이고 기존의 대책을 재탕, 삼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질타했다. 하병수 전교조 대변인은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경쟁교육 완화,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학생과의 만남 시간 확보를 위한 학교업무 정상화와 같은 대책이 빠졌다”고 지적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7-24 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