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 강화한다면서… 기간제만 늘려

역사교육 강화한다면서… 기간제만 늘려

입력 2013-08-23 00:00
업데이트 2013-08-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전보다 중·고교 역사 교사 기간제 16%↑ 정규직 1.8% ↓

역사교육 강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전국 중·고등학교에 배치된 기간제 역사 교사가 지난해에 비해 20% 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규직 교사 숫자는 줄어들어 역사교육 강화 움직임이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보통 1년 단위로 계약하는 기간제 교사들로는 역사 수업의 연속성과 질을 담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22일 민주당 박홍근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0~2013년 연도별 역사교사 증감 추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551명이었던 기간제 역사 교사가 올들어 2973명으로 늘어나 증가율이 16.5%를 기록했다. 오히려 정규직 교사 수는 지난해 2만 1968명에서 올해 397명(1.8%) 줄어들었다.

기간제 역사 교사는 특히 중학교에서 크게 늘었다. 지난해 1110명에서 올해 1632명이 돼 증가폭이 47.0%를 기록했다. 이 기간 고등학교에서는 기간제 역사 교사가 6.9% 감소했다. 2010년 대비 중·고등학교 기간제 역사 교사는 각각 138.5%, 26.3% 늘었다.

이에 대해 교육부 한 관계자는 “육아 휴직이나 파견 등으로 정규직 교사가 1년 정도 자리를 비울 경우 기간제 교사를 많이 뽑는다”면서 “정규교사 확충을 위해서는 안전행정부와 시도 교육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시행까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고 밝혔다.

정규직 역사 교사 자리를 기간제 교사로 메우는 현실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3년째 기간제 교사 생활을 하고 있는 장모(30)씨는 “현장에 있어보니 결원보충은 모두 기간제 몫인 게 현실”이라면서 “경제적 비용이 싸고 쉽게 해고할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기간제 교사 수를 늘리다보면 당정의 역사교육 강화 움직임도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병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기간제 교사들은 관리자인 교장 선생님의 눈치를 봐야 하는 등 수업을 위한 외부환경이 녹록지 않아 수업의 질과 연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면서 “정식으로 고용하는 교사 정원을 늘리는 게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지적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8-23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