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교육청 전문직 인사 ‘원칙있나’…잡음 무성

광주교육청 전문직 인사 ‘원칙있나’…잡음 무성

입력 2013-08-25 00:00
업데이트 2013-08-25 1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위원 시절 징계요구했던 전력자를 직속기관장 발탁’요주의’ 인턴장학사 대변인 복귀…원칙·기준 의문

광주시교육청이 최근 단행한 교육전문직(장학관·장학사·연구관·연구사) 인사를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

중징계받은 공직자를 직속기관장에 발령내고 과학경시대회 채점오류 사태를 빚은 담당자를 영전시키는 등 장휘국 교육감이 그동안 내세웠던 인사 기조와는 정반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 원칙이 말뿐인 이른바 ‘빛좋은 개살구’라는 비아냥거림도 교육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25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9월 1일자로 교감·교육전문직·교사 283명에 대한 정기인사를 단행했다.

시교육청은 “직무수행 효율성을 높이도록 각 교원의 역량과 교육 경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배치했다”고 인사 기준을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인사 중 일부에 대해서는 시교육청 안팎에서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것이 김채화 동림초 교장과 박무기 시교육청 과학정보담당 장학관이다.

김 교장은 시교육청 직속기관인 교육정보원의 기관장에, 박 장학관은 교육정보원 교육지원부장으로 영전했다.

김 교장은 2008년 시교육청 정보기획 담당 장학관 재직시 컴퓨터실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특정회사 제품만 구입하도록 일선 학교에 시방서를 내린 사실이 드러나 중징계를 받았다.

시의회서 문제가 제기됐고 당시 교육위원이었던 장 교육감도 다른 의원들과 함께 강도 높은 감사와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김 교장과 업무담당자는 물론 국장, 과장까지 징계처분을 받았으나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직속기관인 교육정보원장으로 발탁됐다.

5년전에 자신이 이른바 ‘사고’를 쳤던 해당 부서에 책임자로 영전한 셈이다.

박 장학관의 경우 지난 6월 시교육청 주관 중고교생 과학 경시대회에서 성적 처리를 잘못해 수십 명의 입상자가 뒤바뀐 어처구니 없는 사태의 담당자인데도 문책은커녕 교육정보원 부장으로 영전했다.

사건·사고가 터질 때마다 장 교육감은 강한 처벌과 재발방지를 공언했지만, 인사에서는 그런 목소리가 허언임을 나타내 시교육청 근무기강이 해이해질 대로 해이해져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실례로 을지훈련기간 교장과 시교육청 전문직들이 장기 해외연수를 떠났다.

여름철 휴가기간이라고는 하지만 교육감-부교육감-교육국장-학교폭력 담당 과장-학교폭력 담당 장학관 등 학교폭력 업무라인이 며칠씩 모두 자리를 비우는 황당한 일도 벌어졌다.

시교육청은 김교장은 다년간 교육정보화 업무를 담당해 온 경력 있는 적격자로, 박 장학관은 해당 업무 적임자일 뿐 영전이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시교육청 주변에서는 다른 시각이 적지 않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중징계를 받은 공직자를 직속기관장에 임명하고 교육청이 공식사과까지 한 과학경시대회 사태의 책임자를 영전시킨 것은 인사의 원칙과 기준이 없는 것이다”고 비난했다.

특히 이번 인사로 서부교육지원청으로 자리를 옮기는 윤흥현 시교육청 대변인 후임에 김대준 인턴장학사를 재임명한 점도 시교육청 안팎에서 의아해하고 있다.

김 인턴장학사는 장 교육감 취임 초기 대변인에 임명됐다가 자진해서 일선학교로 물러났다가 인턴장학사로 컴백했다.

초강성 인물로 알려진 김 대변인은 전교조 교사 출신 장 교육감의 당선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언론과 잦은 마찰을 일으키고 물러났으나 이번 복귀로 장 교육감의 언론 정책이 소통보다는 갈등과 대립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