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유학반, 국내 대입으로 유턴

외고 유학반, 국내 대입으로 유턴

입력 2013-09-30 00:00
업데이트 2013-09-30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재정난에 장학금 지원 줄자 학비·졸업후 취업 등 부담 작용

서울 지역 외국어고 유학반 학생들의 국내 대학 수시모집 지원 사례가 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미국 대입 전형 일정에 맞춰 준비하던 수험생들이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갈수록 미국 대학 재정이 악화되며 장학금 지원이 축소되자 국내 대학에 ‘보험성 지원’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이번 대입에서 최상위권의 경쟁률을 높이는 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대원외고 유학반 46명 가운데 15명이 지난 13일 마감한 국내 대학 수시 1차에 지원한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1998년 전국 고등학교 가운데 처음 개설된 대원외고 유학반 학생들이 국내 대학 입시에 응시하는 현상이 몇 년 전부터 등장하더니 지원율이 점점 늘고 있다고 학교 측은 설명했다. 신광섭 대원외고 교사는 “지난해부터 국내 대학 지원 학생이 늘더니 올해는 33% 정도 된다”면서 “유학과 국내 대학 진학을 동시 준비하는 인원이 예전에도 있긴 했지만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였고 대부분은 미국 아이비리그 등 해외 대학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박인선 대원외고 국제부장은 “유학반 학생의 국내 대학 진학은 3년 전만 해도 없던 풍경”이라고 말했다.

2002년 유학반을 개설한 한영외고의 사정도 비슷하다. 유학반 학생 수 자체가 지난해 64명에서 20명 정도 줄어든 반면, 수시 지원자수는 20% 정도 늘었다. 서울 지역 내 6개 외고 가운데 대원·한영 외고를 제외한 4개 외고는 아예 유학반을 폐지했다.

외고 유학반의 국내 대학 수시 선호 현상은 전체 유학생 통계에서도 감지됐다. 매년 4월 1일 기준으로 교육부가 발표하는 ‘국외 한국인 유학생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인 유학생수는 2011년보다 8.9% 감소한 23만 9213명으로 집계됐다.

유학이 주춤해진 가장 큰 이유는 ‘학비 부담’ 때문으로 분석됐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 대학의 장학금 지원 규모가 축소되면서 유학생의 등록금 부담이 커졌다. 입학보다 졸업이 어려운 미국 대학에서의 학습부담이나 남학생의 군 입대 문제는 물론 미국이 쉽게 경기회복을 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도 유학 수요를 줄이고 있다. 4~7년 뒤 미국 명문대를 졸업해도 글로벌 경기가 불황이면 미국 영주권·시민권 없이 미국 현지나 도쿄·홍콩·싱가포르·상하이 등 아시아 금융허브 도시에서의 취업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한몫한다.

딸이 외고 유학반에 다니는 한 학부모는 “글로벌 대학평가 상위 20위 안에 들어가는 미국 대학을 보내고 싶었는데, 장학금을 받고 합격하기 쉽지 않으니 국내 대학이라도 지원해 보자고 딸에게 권유했다”면서 “한 해 3만~4만 달러(약 3200만~4300만원)의 학비와 체류비를 지원하기엔 경제적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일반고 최상위권 진학 현장에선 외고 유학반의 국내 대입 ‘유턴’ 현상을 악재로 받아들이고 있다.

서울의 한 일반고 교사는 “유학반 학생들이 국내 대입 수시에 ‘보험’을 드는 현상이 나타나면 토익·토플 점수를 보는 특기자 전형 등에서 더 심한 경쟁이 유발될 것”이라면서 “진학지도 시스템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9-30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