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 고교생 10명 중 9명 수도권大 지원…그중 3명만 합격

[단독] 서울 고교생 10명 중 9명 수도권大 지원…그중 3명만 합격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07-22 23:50
업데이트 2015-07-23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대입 수시 지원 살펴보니…

서울의 고3 학생 10명 중 6명이 지난해 대입 수시모집에서 서울에 있는 대학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인천 지역까지 합하면 10명 중 8~9명이 수도권 대학에 원서를 넣었다. 지원자의 비중은 높았지만 실제 서울 소재 대학에 합격한 학생의 비율이 10%를 밑돌 정도로 ‘서울의 벽’은 높았다.
이미지 확대


22일 서울신문이 입수한 서울시교육청 산하 교육연구정보원의 ‘2015 진학지도자료집’을 보면 지난해 입시(2015학년도 대입) 수시 모집에서 서울 지역 고3 학생들의 서울 지원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교육연구정보원이 서울 318개 고교 중 190개 고교의 3학년 학생 3만 3500여명에 대한 수시 지원 자료를 전수 조사한 결과다. 학생들은 총 6회로 제한된 수시 지원에서 평균 4.3회를 지원했다. 전체 지원 건수(중복 포함)는 14만 4102건이었다. 이 중 합격한 학생은 1만 6292건(11.3%)으로 집계됐다.

전체 14만 4102건의 수시 지원 가운데 서울에 61.2%인 8만 8188건이 몰렸다. 경기도가 3만 140건(20.9%)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충남이 7657건(5.3%), 강원 5199건(3.6%), 인천 5081건(3.5%), 충북 3334건(2.3%)으로 서울과 경기 인근 대학 지원 현상이 뚜렷했다. 나머지 지역인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전남, 전북, 제주는 각각 1% 미만의 지원율을 보였다.

1만 6292건의 합격자 가운데 가장 많이 합격한 곳은 지원자가 가장 많이 몰렸던 서울로 7842건(48.1%)이었다. 하지만 전체 지원 건수에 대한 합격자 비율을 따져 보니, 서울 지역 대학 합격자 비율은 8.9%에 불과했다. 반대로 전북이 지원 건수 대비 합격자 비율이 37.1%로 가장 높았고, 전남이 36.0%로 뒤를 이었다. 인천이 합격자 비율 7.8%로 가장 낮았다.

전형 유형별로 서울의 고3들은 ‘논술’ 전형에 가장 많이 지원했다. 지난해 논술을 치렀던 대학이 29개교에 불과하지만 대부분 서울에 몰려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 서울 지역 대학 28개교가 올해에도 논술을 치른다. 논술 전형에 응한 학생은 가장 많았지만 이 전형으로 합격한 학생은 고작 3169명으로 합격률이 4.7%에 불과하다. 비교과 등을 종합해 따지는 학생부 종합 전형은 2만 7371건이었고, 이 가운데 4010명(14.7%)이 합격했다. 학생부 교과 전형은 2만 1192건 지원에 5306건이 합격해 합격자 비율이 25.0%로 가장 높았다.

김해용 교육연구정보원 연구사는 “서울 지역 고3 학생들의 수시 지원 대비 합격률은 지난해 12.7%에 비해 1.4% 포인트 떨어졌다”면서 “논술 전형은 인문계와 자연계에서 모두 전년보다 2% 포인트 정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7-23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