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블로그] 클릭, 클릭… 수강신청 뺨치는 ‘스터디룸 예약 전쟁’

[현장 블로그] 클릭, 클릭… 수강신청 뺨치는 ‘스터디룸 예약 전쟁’

입력 2016-09-02 22:42
업데이트 2016-09-02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마다 ‘강의실 대관 경쟁’

온라인 예약 시간 컴퓨터 앞 대기
시설 좋은 곳은 ‘대리 대관’까지


하반기 취업 시즌과 가을학기 개강이 다가오면서 취업 스터디, 공모전 준비, 조모임을 하려는 학생들로 대학마다 ‘강의실 대관 경쟁’이 한창입니다. 특히 교통이 편리하고 시설이 좋은 대학들은 말 그대로 전쟁터를 방불케 합니다. 컴퓨터 앞에 앉아 온라인 대관 신청이 시작되는 순간 재빨리 예약해야 하니 ‘제2의 수강전쟁’이라고도 불립니다.

“소위 ‘스터디 명소’로 인기 있는 학교에서는 해당 학교 재학생의 명의를 빌려 ‘대리 대관’을 부탁하는 일도 비일비재합니다. 다들 들어가고 싶어 하는 취업 스터디의 경우 스터디룸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학교 학생을 한두 명씩 뽑아서 ‘스터디룸 정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습니다.”

한 명문 사립대생의 말입니다.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09학번 이한솔(25)씨는 “정기적으로 스터디를 하는 경우에는 강의실 예약이 열리는 시간에 컴퓨터 앞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다가 대관 신청이 열리자마자 곧바로 예약하곤 한다”고 했습니다. 경희대 경제학과 13학번 이기한(27)씨는 “적어도 일주일 전에는 미리 예약을 해야 하는데, 특히 주중에는 스터디룸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고 전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재학생에게만 강의실을 빌려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최근 서강대는 신청자 한 명이 학번을 입력하고 대관을 신청하던 시스템을 사용자 전원이 학번을 입력하도록 변경했습니다. 대리 대관도 근절하고, 대다수가 다른 대학의 학생인 경우 대관을 해 주지 않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실제 제도 변경 후 예약 경쟁이 다소 줄면서 재학생들의 만족도가 꽤 높아졌답니다. 반면 대학의 공공성을 감안할 때 너무 야박한(?) 조치가 아니냐는 학내 의견도 있습니다.

다른 학교들도 나름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고민 중입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재학생들의 불만이 접수되기는 하는데 어떤 대관 제도를 운영하든 강의실 자체를 학업 목적으로 사용하는지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했습니다. “등록금을 내는 재학생에게만 대관을 해 주는 게 맞는 것 같지만 카페를 이용하거나 사설 스터디룸을 빌리려면 꽤 많은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데 청년들의 팍팍한 형편을 생각할 때 재학생에 한정하는 것은 맞지 않는 것 같다”고도 전했습니다.

사실 스터디라는 게 다양한 사람이 모여서 정보를 교류하는 게 장점인데 이런 특성이 무시될 것이라는 학생들의 지적도 있습니다. 공부 장소까지 경쟁해야 하는 청춘들의 처지가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09-03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