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대하여’ ‘~으로 인하여’ ‘~적’ 등 일본어 투 한자어, 순우리말로 바꾼다

‘~에 대하여’ ‘~으로 인하여’ ‘~적’ 등 일본어 투 한자어, 순우리말로 바꾼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10-07 23:02
업데이트 2016-10-08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 초중고 교과서 ‘순화어 목록’ 개발중

초·중·고 교과서에서 쓰는 외래어와 일본어 투 한자어가 내년부터 순우리말로 바뀐다.

교육부는 내년 초등학교 1∼2학년에서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쓸 ‘순화어 목록’을 만들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순화 대상 어휘는 중국에서 만들었지만 일본식 의미와 용법에 따라 쓰이는 말, 중국식 한자어를 이용해 일본에서 만든 복합어, 우리나라에서 만든 말이라도 일본식 조어법에 따라 사용하는 말 등이다. 우리말로 거의 굳어졌지만 고유어 또는 우리식 한자어로 바꿔 쓸 수 있는 말도 포함된다.

현재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일본어 투인 ‘∼에 대하여’ 같은 표현이 문맥에 맞게 바뀐다. ‘~에 대하여’는 일본어 ‘~に?して, ~について’의 번역투다. 예컨대 초등 5학년 도덕 194쪽에는 ‘두 그림을 보면서 우리 모두를 위한 길에 대하여 이야기해 봅시다’라고 적혀 있다. 이 표현은 ‘두 그림을 보면서 우리 모두를 위한 길이 무엇인지 이야기해 봅시다’로 바뀐다.

비슷한 사례로 ‘∼으로 인하여’와 ‘∼의 경우’, ‘∼적’(的) 등도 바뀐다.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과학 31쪽에는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지역에서도 눈이 부족할 경우에 인공으로 눈을 많이 내리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라고 돼 있다. 연구진은 이를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지역에서도 눈이 부족할 때 인공으로 눈을 많이 내리게 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로 바꿀 수 있다고 했다. 이 밖에 ‘할인’은 ‘덜이’, ‘외출’은 ‘나들이’, ‘노트’는 ‘공책’, ‘발코니’는 ‘난간’으로 다듬는다. ‘의미’와 ‘소감’은 각각 ‘뜻’과 ‘느낀바’로 바뀐다.

교육부는 다음달 정책 연구가 완료되면 토론회 등을 거쳐 순화어 목록을 확정하고, 교과서 집필 때 활용할 수 있는 ‘편수자료’에 이를 포함하기로 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내년 초등학교 1∼2학년부터 시작해 2018년 초등 3∼4학년, 중1·고1, 2019년 초등 5∼6학년과 중2·고2, 2020년 중3·고3에 차례대로 적용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0-08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