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자사고 ‘서울대 합격률’ 10년새 18% → 44% 급증

특목고·자사고 ‘서울대 합격률’ 10년새 18% → 44% 급증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10-11 23:06
업데이트 2016-10-12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반고 출신 77% → 46% 급감, 특목고 합격 83%는 수시 입학

서울대 합격생 가운데 특목고와 자사고 졸업생 비율이 10년 만에 18.3%에서 44.6%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일반고를 졸업한 신입생은 77.7%에서 46.1%로 떨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유은혜 의원이 서울대에서 받아 11일 공개한 합격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합격생 3377명 가운데 일반고 출신은 46.1%였다. 10년 전인 2006년 일반고 출신 비중은 77.7%로, 무려 31.6% 포인트나 감소한 것이다. 현재 전국 인문계 고교는 모두 1765개교로, 이 가운데 86.2%인 1521개교가 일반고다.

일반고 졸업생이 빠져나간 자리는 특목고와 자사고가 차지했다. 2006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중 특목고·자사고 출신 비중은 18.3%였지만 올해 44.6%로 무려 2.5배나 증가했다.

서울대 합격자를 낸 상위 45개교의 학생 수는 2016학년도 서울대 전체 합격자의 37.4%인 1262명이었다. 특히 이들 45개교 가운데 특목고와 자사고는 31곳(특목고 18, 자사고 13)으로 68.9%에 이른다. 이들 학교의 고3 학생 수는 8970명으로 전체 수능 응시생의 1.5%에 불과했지만 서울대 전체 합격자의 30.8%(1039명)를 배출한 것이다. 특목고와 자사고를 제외한 일반고 14개교 중 8개교는 강남구와 서초구에 소재한 고등학교였다.

특목고·자사고 출신은 주로 수시모집에서 강세를 보였다. 특목고 출신 서울대 합격자 599명 중 501명(83.6%)이 수시전형을 통해 서울대에 합격했다. 유 의원은 “서울대가 일반고 학생들에게 많은 기회를 주는 것처럼 그동안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지난 10년간 특목고와 자사고 학생에게 더 유리했다”며 서울대 입학전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0-12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