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수학 만점 비율 하락

수능 국어·수학 만점 비율 하락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12-07 23:50
업데이트 2016-12-08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0.07~0.2%뿐… 최상위권 변별력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지난해에 비해 전반적으로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어려웠던 만큼 상위권 변별력은 충분히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지 확대
제 점수는요
제 점수는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가 나온 7일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성적표를 확인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17일 치러진 2017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7일 발표하고 수험생에게 성적표를 배부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은 국어 139점, 수학 가형 130점, 수학 나형 137점, 영어 139점이다. 수학 가형과 영어는 각각 3점씩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했다. 반면 수학 나형은 지난해보다 최고점이 2점 낮아졌다.

올해 통합형으로 바뀐 국어 영역은 3(B형 대비)∼5점(A형 대비) 상승해 지난해 대비 표준점수 상승폭이 컸다. 준비를 덜한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보인다.

수능 표준점수는 수험생 성적이 전체 응시자 평균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시험이 어려우면 원점수의 평균이 낮아지는 반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만점자 비율은 국어 0.23%, 수학 가형 0.07%, 수학 나형 0.15%, 영어 0.72%로, 영어 영역을 제외하고 지난해보다 모두 줄었다. 통상 일컫는 ‘만점자 1%’를 한참 밑도는 것으로, 최상위권 변별력은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수학 가형과 나형은 모두 만점자 비율이 최근 5년 중 최저였다. 선택형 수능 제도가 도입된 2005학년도 이후 수학 가형은 2011학년도(0.02%)에 이어 두 번째, 수학 나형은 2009학년도(0.11%)에 이어 두 번째로 만점자 비율이 낮았다. 반면 영어 영역 만점자 비율은 지난해 0.48%보다 0.24% 포인트 상승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2-08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