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알아야 수화도 쉽게 가르쳐… 학위보다 배움”

“언어 알아야 수화도 쉽게 가르쳐… 학위보다 배움”

입력 2017-06-15 18:40
업데이트 2017-06-15 19: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화통역사 김홍남씨 (한국어학부)

“외국어 특성화 대학인 한국외국어대를 믿고 사이버한국외국어대를 선택했어요. 커리큘럼이나 가르치는 방식 등 4년 동안 공부해 보니 옳은 선택이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수화통역사 김홍남씨 (한국어학부)
수화통역사 김홍남씨 (한국어학부)
수화통역사인 김홍남(44·한국어학부4)씨는 졸업을 앞두고 지난 4년을 되돌아보면서 “과제도 많고 실습도 많아 힘들었지만, 학창 시절이 뿌듯하다”고 말했다.

김씨는 1994년부터 수화통역사로 일했다. 청각장애인이 한글을 읽지만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이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싶다는 생각을 품으면서 2013년 사이버한국외대를 찾았다.

“청각장애인들은 한국어가 외국어나 다름없어요. 같은 교육과정으로 공부하는 초·중·고교 때와 달리 대학에 입학하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러다 보면 사회에 적응을 잘 못하기도 하고요. 어떻게 한국어를 쉽고 재밌게 가르칠 수 있을까, 청각장애인들이 이해하는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을까 고민하다 이곳을 택했습니다.”

김씨는 대개 학기당 6과목씩을 수강했다. 통역 일이 있을 때는 하루 1~3과목씩 공부했고, 통역 일이 없을 때에는 수업을 몰아 온종일 공부했다. 특히 졸업시험을 치르는 이번 달은 한 달 내내 거의 잠도 못 자고 공부했다. 단순히 교과목 공부만 하는 게 아니라 실습수업도 진행하는 점이 특징이다. 예컨대 교육안을 만들어 제출하면 교수가 피드백을 주고 다시 제출해 수정을 받은 뒤 외국인 학습자 앞에서 직접 모의수업을 진행하는 식이다.

김씨는 “사이버대지만 우습게 봤다가는 큰코다친다는 이야기를 허투루 들어선 안 된다”면서 “학위를 따는 공부가 아니라 많이 배우겠다고 생각하고 공부하면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7-06-16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