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 소규모 강좌 줄이고 대규모 강좌 늘렸다 … 강사법 영향?

대학들 소규모 강좌 줄이고 대규모 강좌 늘렸다 … 강사법 영향?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04-30 17:50
업데이트 2019-04-30 1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1학기 대학들이 소규모 강좌를 줄이고 대규모 강좌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임교원의 강의 부담도 커졌다. ‘강사법’(개정 고등교육법)의 부작용인 시간강사 감축과 대학 강의의 대형화 현상이 수치로 확인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이달 1일 기준으로 4년제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 196곳의 강좌 수와 등록금 현황 등을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대학의 전체 강좌 중 학생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5.9%로 지난해 1학기(38.0%)보다 2.1% 포인트 줄었다. 반면 51명 이상의 대규모 강좌 비율은 13.9%로 전년(12.7%)보다 1.2% 포인트 늘었다. 특히 사립대학(-2.6% 포인트)이 국립대학(-0.6%)보다 큰 폭으로 소규모 강좌를 줄였다.

대학들은 강사법 시행에 앞서 시간강사 수를 줄이기 위해 소규모 강의를 줄이고 대규모 강의를 늘려왔는데, 그 결과가 통계로 드러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강의를 대폭 줄인 대학에서는 1학기 수강신청 과정에서 ‘대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전체 강좌 수도 30만 5353개로 지난해보다 7000개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강의 중 전임교원이 담당하는 강의 비율도 늘어 전임교원이 담당하는 학점은 올해 1학기 66.6%로 전년(65.6%) 대비 1.0% 포인트 증가했다. 이 역시 대학들이 시간강사를 줄이고 전임교원에게 ‘강의 몰아주기’를 한 영향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올해 4년제 대학의 연간 평균 등록금은 670만원 선으로, 분석 대상인 196개교 중 174개교가 등록금을 동결했으며 17개교는 인하했다. 계열별 평균 등록금은 의학계열이 963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예체능(774만원), 공학(718만원), 자연과학(678만원), 인문사회(592만원)계열 순이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