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학업성취도 ‘중위권 붕괴’… 코로나發 학습 격차 현실로

[단독] 학업성취도 ‘중위권 붕괴’… 코로나發 학습 격차 현실로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1-09-30 22:00
업데이트 2021-10-01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교 수학 ‘보통’ 줄고 ‘미달’ 늘어

작년 ‘우수’ 해당 4수준 비율은 그대로
3수준 4.4%P 감소… 1수준 4.5%P 증가

영어 상위권 줄었지만 대도시는 유지
“사교육 활용 여건 되면 결손 적어” 분석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생들의 ‘중위권 붕괴’ 현상이 지난해 11월 치러진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도 다시 반복된 것으로 분석됐다. 고등학교에서 1년 사이 보통 수준 학생의 비율은 줄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은 증가한 반면 상위권 학생 비율은 그대로인 ‘학력 양극화’ 현상이 부분적으로 드러났다.

29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평가 결과 고등학교 수학 과목에서 ‘우수’에 해당하는 ‘4수준’ 비율은 29.0%로 2019년(29.3%)과 비슷했다. 하지만 ‘보통’인 3수준은 31.8%로 전년(36.2%) 대비 4.4% 포인트 줄어들었다. ‘기초’인 2수준은 25.7%로 전년(25.5%)과 비슷했다.

학업성취도평가는 전국의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3%를 표집해 실시된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매년 평가 결과를 공개할 때 성취도 비율을 ‘3수준 이상’과 ‘1수준(기초학력 미달)’으로만 분류하고 있으나, 평가원은 평가 결과를 심층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1·2·3·4수준 각각의 비율을 공개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6월 공개한 평가 결과에서 고등학교 수학 1수준 비율은 13.5%로 4.5% 포인트 늘어 기초학력 결손 현상이 확인됐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은 “우수 학생 비율은 그대로인 가운데 중위권이 붕괴하고 교육격차가 커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도시 지역에서는 고등학교의 수학 4수준 비율이 33.7%로 전년(32.8%)보다 소폭 증가한 반면 3수준은 6.2% 포인트 줄고 1수준은 6.1% 포인트 늘었다. 수준별 증감 폭이 미미했던 중소도시 및 읍·면지역보다 대도시 지역에서 중위권 붕괴 현상이 두드러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어과목에서는 4수준(37.1%)과 2수준(14.7%)이 전년 대비 각각 2.9% 포인트 줄고 1수준(8.6%)은 5% 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대도시 지역의 4수준(43.0%)은 전년(42.9%)과 비슷했다. 4수준 비율은 대도시가 상대적으로 높고 중·하위권인 2·3수준 비율은 읍·면지역이 높은 경향이 뚜렷해졌다. 국어과목은 4수준(23.3%)과 3수준(46.4%)은 줄고 2수준(23.4%)과 1수준(6.8%)이 증가한 가운데 읍·면지역의 4수준이 6.5% 포인트 급감했다. 송 정책위원은 “고교 국·영·수 모두에서 학습결손이 나타났지만 대도시의 수학·영어 상위권 비율에 변화가 없었던 것은 등교 일수가 부족해도 사교육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의 학생들이 높은 성취도를 유지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학교는 2019년과 2020년 평가에 적용된 교육과정이 달라 비교분석을 하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학력 양극화가 고착화되면 학생들은 흥미와 자신감, 자기효능감을 회복하기 어려운 지점에 봉착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재봉 평가원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연구실장은 “코로나19 이전에도 가정환경이나 부모의 관심 등에 따른 학습 격차는 존재해, 지난해 발생한 학습 결손의 현황과 원인에 대해서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지난해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등교 일수와 원격수업 등 코로나19 팬데믹이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를 연말에 공개한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1-10-01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