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사건’ 이후 대면 인계 늘었지만
쉬는 시간 사이 학생 관리 인력 부족
교사들 “늘봄교실서 아이 사라지기도”

한 학부모가 자녀의 등교를 동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학생을 교문까지 바래다주는 사이 다른 아이가 잠시 사라져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방과 후엔 학내에서 ‘아이를 찾는다’는 방송도 빈번합니다.”(서울 초등교사 A씨)
지난 2월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 이후 교육부가 3월 새학기부터 방과 후 대면 인계 원칙을 강화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학교에서는 혼란이 이어진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인력난 속에 방과 후 강사나 행정 업무를 맡는 늘봄실무사가 안전 관리까지 떠맡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장에서는 늘봄학교 확대로 1~2학년 무상 프로그램 참여 학생이 늘면서 하교 지도를 할 학생도 많아졌는데, 인력 부족으로 관리에 구멍이 생긴다고 토로한다. 인천의 10년 차 초등교사는 9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맞춤형 프로그램 쉬는 시간 10분 사이에 1부 학생을 인솔하면 2부 학생은 교실에 방치된다”며 “교사 절반은 늘봄교실에서 아이가 사라지는 경험을 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쉬는 시간 학생 관리 업무를 새로 부여받은 방과 후 강사들이 안전 관리의 부담으로 수업을 그만두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전국에 총 8000명의 귀가 지원 인력이 배치됐지만, 현장에선 인력 부족과 관리체계 미흡을 지적한다.
이재천 교사노조연맹 늘봄학교 대응TF 팀장은 “학생마다 하교 시간이 제각각인데 관리 시스템도 전산화되지 않아 수기로 한다”며 “대전 사건 이후 2주 사이에 예산 배정과 인력 배치 계획이 발표됐지만 이미 학교는 지역사회 봉사자를 100% 가까이 활용해 구인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지역에선 늘봄지원 인력 공고가 5차까지 가는 사례도 있다.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늘봄실무사가 대면 인계를 맡기도 한다. 서울의 한 늘봄실무사는 “하교와 관련해 출석 사항만 하루에 전화가 수십통”이라며 “학생 명단 관리와 귀가 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가 지난달 12~18일 늘봄실무사 36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 내 늘봄지원인력(자원봉사자)이 근무하지 않는다’는 답이 63%(230명)로 ‘지원 인력이 근무한다’는 응답 37%(135명)보다 많았다. 우미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 부지부장은 “학생 이동과 귀가 지원은 물론 특수학급 방과 후 학교 관련 업무, 민원 전화 응대업무까지 여러 업무가 늘봄실무사에게 맡겨진 상황”이라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인력은 큰 학교 중심으로 시도의 신청을 받아 더 배치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며 “추가인력 배치와 실무인력 연수, 늘봄지원센터 차원의 지원 강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