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쓰레기 배출량, 2100년엔 지금의 3배

전세계 쓰레기 배출량, 2100년엔 지금의 3배

입력 2013-10-31 00:00
업데이트 2013-10-31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캐나다 연구진 “중국·동아시아가 주범”

인구 증가율과 물질 소비가 크게 줄지 않는 한 금세기 말까지 인류가 버리는 쓰레기 양은 지금의 3배가 될 것이라는 연구가 나왔다고 NBC 뉴스가 30일 보도했다.

캐나다 온타리오 대학 과학자들은 오는 2100년이면 인류는 매일 1천100만t의 쓰레기를 배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이들은 지난 1900년에는 전세계의 도시 인구 2억2천만명이 버리는 쓰레기가 하루 33만t 미만이었지만 2000년에는 10배인 330만t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부 부유한 국가의 경우 이미 쓰레기 배출량이 정점에 달해 그 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지만 급속히 도시화하는 국가들에서는 쓰레기 방출량이 급증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진은 3개의 경제개발 시나리오를 적용해 세계 각지에서 얼마나 많은 쓰레기가 배출될지 계산했다.

사람들이 지금처럼 쓰레기를 버릴 경우 전세계의 쓰레기 배출량은 2100년 이후에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인구 수와 밀도가 지금보다 낮고 도시들의 자원 효율성이 높아지고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줄어들 경우”엔 2075년에 정점에 달한 뒤 25%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쓰레기 양은 하루 280만t씩 줄어들게 된다.

쓰레기 배출량은 소득이 증가할 때 정점에 달했다가 멈추게 되는데 이는 사람들이 더 이상 물건 사기를 멈추고 운동경기나 공연 관람 등 경험 쌓기에 더 많은 돈을 쓰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실제로 많은 선진 지역에서는 이미 쓰레기 배출량이 정점을 지나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소득 면에서 서방세계를 따라잡고 있는 나라의 도시에서 새로운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재 고체형 쓰레기 배출의 중심지는 중국과 동아시아”라면서 이 지역의 쓰레기 배출량 증가세는 금세기 중반에야 멈출 것이며 그 후에는 인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 뒤를 잇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