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가 산으로 가는 이유는..지구온난화

개미가 산으로 가는 이유는..지구온난화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6-11-29 15:02
업데이트 2016-11-29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기후변화에 민감한 생물이 고산지역으로 이동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멸종되는 종이 많아 향후 종 다양성이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9일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미의 분포변화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산림과학원이 2007년부터 3년간 전국의 산림 365곳에서 개미의 서식 분포를 조사한 뒤 생태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다. 연구결과 개미의 종별 분포는 낮은 고도에서 종수가 많은 ‘온대형 패턴’에서 중간 고도에 몰리는 ‘열대형 패턴’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개미의 종 다양성은 서울 남산(262m) 높이인 해발 263m에서 가장 높지만, 매년 4.9m씩 높은 곳으로 이동해 2080년이면 강원 춘천의 삼악산 높이인 해발 656m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해발 1000m 이상에서 서식하는 쿠로키뿔개미(사진) 등 뿔개미류는 지구온난화로 2090년대에 거의 사라질 것으로 분석됐다. 뿔개미는 고산지대 희귀 초본류의 씨앗을 옮겨 확산을 돕고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등 희귀나비의 유충을 먹여 살리는 역할을 한다. 결국 개미의 감소는 고산지역 희귀 초본류와 나비류 서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지 확대
산림과학원은 “개미 분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고산지대의 종 다양성 취약성을 증명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이 발행하는 학술저널 ‘플러스원’에 최근 게재됐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