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의 덫 ‘전립선 비대증’...최근 들어 환자 급증세

고령화의 덫 ‘전립선 비대증’...최근 들어 환자 급증세

입력 2011-02-27 00:00
업데이트 2011-02-27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0대의 전립선환자 증가율이 60대를 넘어섰다. 노령화로 노인 환자가 증가한 탓도 있지만 노년층들이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선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한비뇨기과학회(회장 정문기)의 세부학회인 대한전립선학회(회장 이현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2004∼2008년까지 5년간 전립선비대증 치료패턴을 연구한 결과, 70대가 치료 및 수술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책임저자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교수) 결과는 SCI국제학술지인 ‘PCAN’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전립선이란 정자의 생존에 필요한 전립선액을 만드는 생식기 조직으로, 노화나 비만 등으로 이 부위가 커지는 것을 전립선비대증이라고 한다. 전립선이 비대하면 요도를 압박해 소변 이상을 초래하는데, 일반적으로 50대의 50%, 60대의 60%, 80세 이후에는 약 80%의 노인에게서 조직학적으로 전립선비대증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물·수술 모두 70대가 더 늘어

 물론 고령화로 전립선 질환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은 있었지만 70대 환자의 급증은 예상 밖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분석 결과, 2004∼2008년 사이에 연령대별로는 60대가 전체 환자의 38%를 차지했으나 이례적으로 약물 처방을 받는 환자 수의 증가속도는 70대가 가장 빨랐다. 가장 많이 처방되는 치료제의 하나인 알파차단제의 경우 70대 처방률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수술치료법인 경요도절제술 역시 60대는 전년보다 감소했으나 70대는 1.08배가 증가했다. 레이저 수술률 역시 70대 증가율이 1.02배로 60대를 앞질렀다.

 

 ●전립선비대증 치료수요 2배나 급증

 전립선비대증 치료 수요는 5년 사이 약 2배로 늘었다. 환자들의 요양일수는 2004년 346만건에서 2008년 660만 건으로 약 1.9배 증가했으며, 2004년 180만건이던 내원 일수 역시 2008년에는 305만건으로 늘었다. 이런 증가 양상은 지역이나 진료 형태에 관계없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이 연구논문 책임저자인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고령화로 전립선질환의 증가는 예상됐으나 60대보다 70대 이상 노년층이 치료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미있는 변화”라면서 “전립선비대증은 약물로 쉽게 조절이 가능한데다 수술법도 다양해 치료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10년 뒤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년층에 편입되면 진료수요는 급증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교수는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현재 40∼50대를 대상으로 한 전립선비대증의 조기진단과 치료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전립선학회 측은 국제전립선 증상점수표(IPSS)를 활용하면 누구나 평소 손쉽게 전립선비대증을 관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미지 확대


이형래 교수는 “각 항목별로 자신에게 해당되는 한 항목씩을 골라 전체 점수를 합산한 값이 0∼7점이면 가벼운 정도, 8∼19점은 중간 정도, 20∼35점은 중증”이라면서 “일반적으로 8점 이상이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검사를 거쳐 필요하면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