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혈액 검사로 전립선암을?

[굿모닝 닥터] 혈액 검사로 전립선암을?

입력 2011-02-28 00:00
업데이트 2011-0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료실에서 50대 남성 환자를 만났다. 2년쯤 전부터 소변 보기가 불편해 동네 비뇨기과 의원에서 계속 진료를 받아왔다는 환자였다. 그동안 ‘PSA’라는 전립선 특이항원검사도 받았단다. 처음에는 3.5였던 PSA 수치가 최근에는 4.9까지 오르는 등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와 큰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받아보라는 권유를 받았다는 것이다.

비슷한 이유로 병원을 찾는 외래 환자가 적지 않다. 앞서 언급한 PSA 수치가 높다 해서 반드시 암인 것은 아니다. 전립선 비대증이나 전립선염이 있는 경우, 또 성관계 후 사정을 한 경우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다.

이전에는 PSA 4 미만을 정상으로 봤으나 최근에는 4 미만에서도 전립선암이 종종 발견되면서 기준을 낮춰 3 미만을 정상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 추세다.

물론 PSA 수치가 높으면 당연히 ‘암의 확률’도 높다.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전립선암은 침습적 방법인 전립선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하는 게 보편적이다. 초음파를 통해 전립선 8~12곳에서 조직을 얻어 진단하는 방식이어서 환자들이 부담스럽게 여기지만 실제 조직검사는 간단하게 이뤄진다.

일부에서는 조직검사 후 전립선염이 생기기도 하는데, 열이 나고 소변이 잘 안 나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자칫 패혈증으로까지 발전해 위험한 상황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대·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하지만 아스피린류를 장기적으로 복용하지 않는다면 대부분 자연 지혈이 된다. 중요한 것은 이런 부담 때문에 조직검사를 기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자칫 암이 퍼져 최상의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PSA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면 주저하지 말고 조직검사를 받아야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건강한 삶을 위해 두려움 정도는 이겨낼 수 있어야 한다.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1-02-28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