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 조절 유전자 찾았다”<생명硏>

“식욕 조절 유전자 찾았다”<생명硏>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0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욕을 증진시키는 호르몬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발견돼 비만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7일 노화과학연구센터 유권 박사 연구팀이 섭식 행동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인 ‘신경펩타이드(sNPF)’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 mnb(mini brain, 포유류의 DYRK1a)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신경펩타이드는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일으키는 섭식행동 조절 호르몬으로 알려졌으나, 그 분비를 조절하는 기제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았다.

사람의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DYRK1a는 다운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가운데 하나로 알려졌을 뿐 그 외의 다른 기능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 박사 연구팀은 초파리의 mnb를 자극할 경우 정상 초파리보다 식욕이 왕성해져 먹이 섭취량이 60% 이상 증가했지만, mnb의 발현을 억제할 경우 먹이를 30% 이상 적게 먹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생쥐에 대한 실험에서도 DYRK1a가 자극된 마우스는 하루 평균 먹이 섭취량이 정상 마우스보다 20% 정도 증가했다.

인슐린은 반대로 신경펩타이드가 분비되는 것을 억제해 인슐린을 과량 발현시킨 초파리는 먹이 섭취량이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유 박사는 “mnb가 신호전달 경로를 거쳐서 신경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해 식욕을 증가시키거나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면서 “식이 조절 문제로 발생하는 비만이나 대사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전학 연구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PLoS Genetics’ 지난 3일자 인터넷판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