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걷는다는 것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걷는다는 것

입력 2012-09-24 00:00
업데이트 2012-09-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세기 무렵이었을 겁니다. 혜초라는 승려가 기약 없는 여정에 나섰습니다. 그 여정이 철환(轍環)이었는지, 순례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암튼 그는 중국을 지나 인도와 중앙아시아, 페르시아와 아랍 일대를 돌아 다시 중국 장안으로 돌아왔다는 것인데, 안타깝게도 답습한 행로를 몰라 그가 얼마나 걸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요즘처럼 편한 교통수단이 있었던 건 아닌 만큼 ‘뼈가 바스라지는 고행’이었음을 짐작하는 것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상식적으로 보자면, 혜초는 건각이었음이 틀림없습니다. 어디 다리뿐이었겠습니까. 몸이 어느 한 곳이라도 부실했다면 그 멀고, 오랜 여정은 꿈도 꾸지 못했을 일이니까요. 걷는다는 것,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가벼운 운동복을 차려입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신발에 물병을 들고, 혹시 무료할까봐 동반자까지 내세우고, 그래도 마음이 안 놓여 ‘싫으면 그만두지.’ 하고 나서도 힘이 듭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줄창 걸어댑니다. 안 해봐서 모르겠다고요. 편한 날, 저녁 무렵 산책 삼아 강변이나 공원에 한번 나가보세요. 남에게 지기를 싫어한다면 놀랄 수도 있습니다. 뛰고 달리는 수많은 사람들을 보고 ‘아차’ 싶어 당장 차려입고 나서거나 아니면 ‘난 뭐지?’라며 자책할지도 모르는 일이니까요.

확실히 운동만 한 보약이 없습니다. 새삼 장점을 거론하는 게 이상할 만큼. 그러나 그런 운동도 잃는 게 있습니다. 욕심 내다가 관절 등 근골격계가 삐꺽할 수도 있고, 너무 살을 빼 자글자글 잔주름이 접힐 수도 있습니다. 운동에 빠져 사람 만나는 일을 귀찮아하는 경우도 봤습니다. 그러니 운동을 하더라도 얻을 것과 잃을 것을 따져 종목과 강도를 정하고, 마음을 가다듬어야 합니다. 내력도 모르고 남만 따라 하지 말고 전문가의 운동처방을 받는 등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준비 정도는 하는 게 좋습니다.

그렇다고 제 얘기가 운동과 담 쌓은 사람들에게 위안이나 구실이 되지 않기 바랍니다. 운동을 하되 돌팔이식이 아니라 잘 계산해서 해야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는 뜻이니까요.

jeshim@seoul.co.kr

2012-09-24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