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로 신장암 조기진단 가능

혈액검사로 신장암 조기진단 가능

입력 2013-03-18 00:00
업데이트 2013-03-1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브란스병원 조남훈 교수팀 발표

그동안 초음파검사 등으로만 진단할 수 있었던 신장암을 혈액검사로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세브란스병원 조남훈 교수팀은 신장암 환자 87명과 건강한 대조군 109명의 혈장을 채취해 신장암 진단 정확도를 테스트한 결과, 건강한 사람은 NNMT 바이오마커의 평균 농도가 68pg/㎖에 그친 반면 신장암 환자는 420pg/㎖로 높게 나타나 이를 이용해 신장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최근 밝혔다. 나머지 바이오마커들도 농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 검사법은 진단키트로 신장암과 관련된 3종의 혈액 속 바이오마커(표적단백질)인 ‘NNMT’, ‘LCP1’, ‘NM23A’의 형광감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을 적용할 경우 신장암 환자에게서 암을 찾아낼 확률이 90%일 때 암이 없는 사람에게서 암이 없음을 밝혀낼 확률은 94.4%로 분석됐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기술은 최근 유럽인증(CE)을 받은데 이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최종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최신호에 발표됐다

2010년 현재 국내 신장암은 연간 3400여건이 발생하는데 이는 전체 암 발생 건수인 19만 2000여명의 1.78%에 해당한다. 신장암은 지금까지 복부 초음파검사에서 신장 종양이 발견될 경우 CT(컴퓨터단층촬영) 등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주로 적용해 왔다. 조남훈 교수는 “지금까지 신장암을 진단하는 혈액검사는 없었다”면서 “이번에 적용한 바이오마커를 암검사에 활용하면 신장암을 조기에, 정확히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3-18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