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혈압 잴 때 옷소매 꼭 올려야 할까

Q. 혈압 잴 때 옷소매 꼭 올려야 할까

입력 2013-04-22 00:00
업데이트 2013-04-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 2㎜ 넘는 옷 아니면 별 차이 없어요

혈압을 잴 때 옷소매를 걷어 올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망설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대게는 옷을 걷어 올리지만 옷을 껴입었다면 그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옷 때문에 고민하지는 않아도 된다. 너무 두껍거나 꽉 조이는 옷만 아니라면 굳이 팔뚝까지 드러내지 않아도 혈압 측정치에는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강릉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오미경 교수팀은 병원을 찾은 성인 남녀 141명을 대상으로 팔뚝을 완전히 드러냈을 때의 혈압, 입고 있는 옷 위로 잰 혈압, 옷을 말아 올린 뒤 잰 혈압을 6회에 걸쳐 비교 측정한 결과 세 가지 방식에 별 차이가 없었다고 최근 밝혔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혈압을 잴때 팔뚝을 완전히 드러내도록 하는 현재의 권고안과는 다른 것이다.

연구팀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내뿜는 동맥 혈압인 ‘수축기혈압’(높은 혈압)과 심장이 확장하면서 정맥의 피를 끌어들일 때인 ‘이완기혈압’(낮은 혈압) 측정치를 비교했다. 혈압계는 일선 병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제품(Omron MX-3)을 사용했다.

그 결과 수축기 혈압 평균치는 옷 위로 쟀을 때 128.5±10.6㎜Hg, 옷을 말아 올렸을 때 128.3±10.8㎜Hg, 팔뚝을 완전히 드러냈을 때 128.3±10.7㎜Hg으로 세 그룹 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이완기 혈압도 각각 80.7±6.1㎜Hg, 80.7±6.1㎜Hg, 80.6±5.9 ㎜Hg으로 거의 비슷했다. 시험 참가자를 나이와 성별, 고혈압 및 당뇨병 유무, 옷의 두께, 체중, 음주·흡연력 등에 따라 나눠 다시 측정한 혈압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혈압을 측정할 때 2㎜가 넘는 두꺼운 옷이나 손가락 2개가 겨우 들어갈 정도로 꽉 조이는 옷만 아니라면 의복이 혈압 측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결론내렸다. 오 교수는 “외국의 연구에서도 평상복 정도라면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오히려 팔을 드러내기 위해 옷을 말아 올려 팔뚝 상부를 압박할 경우 수축기 혈압이 낮게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4-2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