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그 시절의 간질…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그 시절의 간질…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심재억 전문기자
심재억 전문기자
초등학교 때였다. 월요일 아침이면 전교생이 운동장에 도열해 교장 선생님의 훈시를 들었다. 항상 그 말이 그 말이었고, 장광설에 몸이 뒤틀릴 만 하면 “이상” 하는 반가운 맺음말이 들렸다. 땡볕 아래서 부동자세로 버티자니 이마에 진득한 땀이 배어나 좋이 한나절은 벌을 선 듯한 느낌이었다. 훈시에 이어 당번 선생님의 이런 저런 지시가 끝나면 줄지어 교실로 들어가야 했다. 우리 반이 ‘헛둘! 헛둘!’ 구령에 맞춰 막 움직이려는데 뒤쪽에서 한 여자아이가 털썩 나동그라졌다. 배를 주리고 살아 너나없이 영양실조이거나 영양 상태가 극악해 걸핏하면 픽, 픽 나자빠지던 시절이어서 다들 “더위 먹었나 보다” 하고 웅성거렸고, 상황을 알아챈 선생님이 득달같이 달려와 볼을 감싸 쥐고 아이의 이름을 불러댔다.

입가에 거품을 물고 쓰러진 아이는 두 눈을 까뒤집고 온몸을 덜덜 떨어댔다. 아이들이 몰려들어 진을 친 가운데 선생님이 이마를 짚는다, 이름을 부른다 했지만 헛일이었다. 도리없이 둘러업고 양호실로 뛰었다. 양호실이라야 교무실 한쪽 나무 침대에 카키색 군용 담요 한장 덮어 놓은 게 전부였지만 서늘해 땀은 식힐 만했을 터인데, 그 뒤로는 그 아이 얘기를 듣지 못했다. 교실로 돌아와서야 한 마을에 사는 아이로부터 “간질병인데 치료도 안 된다더라”는 말을 들었고, 그게 무슨 병인 줄도 몰라 막연하게 ‘실성’ 같은 말을 떠올렸을 뿐이었다.

그 아이를 다시 본 것은 며칠 뒤였다. 운동장을 가로질러 가는 아이의 얼굴이 파리했다. 몇 걸음 떼다 돌아보니 수수깡으로 짜 맞춘 듯 부실해 뵈는 어깻죽지가 금방 무너져 내릴 것만 같았다. 그 후 그를 까맣게 잊고 살았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 아이도 다른 간질환자들처럼 세상의 강고한 편견에 짓눌려 피지도 못하고 스러졌을 것이다. 그 시절의 그에게 간질은 가혹한 운명, 무거운 천형이었을 것이다. 어떤 병도 세상의 수준을 뛰어넘어 치료할 수 없는 일이니, 그 시절의 인지 수준만큼 그는 몸을 앓고 또 마음을 앓았을 것이다. 지금이라면 말갛게 씻어 헹군 듯 고칠 병이었지만 그땐 세상이 그러지 못했으니.

jeshim@seoul.co.kr



2013-06-03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