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세계가 놀란 홍삼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세계가 놀란 홍삼

입력 2013-07-08 00:00
업데이트 2013-07-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핀란드 헬싱키를 다녀왔습니다. 2015년에 열릴 세계과학기자연맹(WFSJ) 총회를 유치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세계 도처에서 무려 1000명에 이르는 내로라하는 과학자와 과학기자들이 모여 현안을 짚고 미래를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언론인들의 정례 모임으로는 세계적으로 가장 규모가 클 뿐 아니라 의·과학계에서도 주목하는 행사지요.

결과도 좋아 한국과학기자협회가 내세운 서울이 2015년 총회 개최지로 확정됐습니다. 일찌감치 호주와 브라질을 밀어냈고, 결선에서는 남아공과 케냐까지 이겼으니 자부심을 가져도 좋은 ‘쾌거’라고 할 만합니다. 그 헬싱키 현장에서 우리 유치단이 확인한 또 다른 사실은 외국인들, 그것도 의·과학분야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기자들이 한국의 홍삼에 큰 관심을 보이더라는 점입니다. 현지 홍보물로 뭘 가져갈까 고민하다가 가장 이채롭고 한국적이라고 생각해 준비해 간 것이 홍삼 절편이었습니다. 한국 부스를 찾았다가 선물로 받아든 홍삼 절편을 신기한 듯 살펴보며 “그냥 먹는 거냐”거나 “정말 주는 거냐”고 되묻는가 하면 즉석에서 먹어 보는 이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유럽연합(EU) 과학기자연맹의 여성 회장은 아예 우리 부스를 제집처럼 드나들며 홍삼 절편을 챙겨 가는가 하면 다른 방문객들에게 엄지손가락을 들어보이며 “최고”라고 호들갑까지 떨더군요. 아쉽다면 아직도 그 많은 외국 기자들에게 우리 홍삼을 ‘진셍’이라고 소개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헬싱키 총회 마지막 날, 차기 개최지 발표를 앞두고 진행된 학술행사에서 한 연사가 무대로 나서더니 우리가 건넨 홍삼 절편을 꺼내들더니 “이게 바로 한국 홍삼이다. 직접 먹어보겠다”며 봉지를 열고 우물거리며 먹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러면서 “베리 굿”을 연발해 한바탕 유쾌한 웃음판이 되기도 했습니다. 덕분에 초조하게 차기 개최지 발표를 기다리던 우리도 잠시나마 긴장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요. 그때 알았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우리가 귀하지 않게 여기는 수많은 한류의 씨앗들이 널려 있고,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건강을 지켜 온 인삼·홍삼도 그중의 하나라는 사실을요.

jeshim@seoul.co.kr



2013-07-0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