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장 속 ‘박쥐 세균’ 착하게 만드는 법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장 속 ‘박쥐 세균’ 착하게 만드는 법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의 장 속에 수많은 세균이 살고 있습니다. 그 세균을 묶어서 세균총이라고 하는데, 그걸 다 그러모으면 무려 1.5㎏이나 됩니다. 그렇다고 겁부터 낼 일은 아닙니다. 그 세균 중에는 장운동을 돕고, 면역력 형성에도 필수적인 소위 ‘착한 세균’이 많으니까요. 물론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착한 세균보다 적지만 위험한 세균도 있습니다. 염증이나 발암성 물질을 만들기도 하는 ‘나쁜 세균’도 적지 않습니다. 또 있습니다. 장 속에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닌 박쥐 같은 세균도 있습니다. 이들 세균은 좋은 세균과 나쁜 세균 사이에서 눈치를 살피다가 힘이 우세한 쪽에 붙어 판세를 가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세균의 비율이 대충 2대1대7쯤 된다니 장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나쁜 세균을 제압하는 것 못지않게 중간지대의 세균을 우군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는데, 중간지대의 세균을 우군화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좋은 세균의 세력을 강화하는 것이며, 여기에 좋은 식품이 바로 유산균과 벌꿀에 많은 올리고당입니다. 물론 이것만으로 장이 온전히 건강해지는 건 아닙니다. 채소나 과일에 많은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해 장 속 내용물을 적절한 시간에 항문에 다다르도록 밀어내는 힘, 즉 연동운동을 강화해야 합니다. 여기에 관여하는 자율신경이 바로 부교감신경입니다. 이 부교감신경은 비활동성을 지배하는 신경이지만 특이하게도 장의 운동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교감신경형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먹고살기에는 낮이 너무 짧다고 여겨 밤까지 낮 삼아 일을 하는 것이지요. 그러는 사이에 교감신경이 성하고 부교감신경이 쇠해져 건강까지 해치는데, 장 건강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방법은 많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천천히’입니다. 천천히 먹고 걷고, 말하고 자고 쉬는 일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됩니다. 끝으로, 정말 중요한 것은 실천이라는 사실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jeshim@seoul.co.kr



2013-07-15 2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