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바이러스 임신 중 태아도 감염

자궁경부암 바이러스 임신 중 태아도 감염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병원 조사… 수직감염률 19%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임신 중에 임신부를 통해 태아에게 수직 감염된다는 사실이 국내에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송용상·박중신·이승미 교수팀은 2009~2010년 건강한 임신부 1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HPV 수직 감염률이 19%에 달했다고 최근 밝혔다.

HPV는 종류만 100여종이 넘는 인체 감염 바이러스로, 자궁경부암과의 역학적 관련성에 따라 고위험군(16·18형)과 저위험군(6·11형)으로 분류된다. 주로 상피 내 종양과 같은 전암성 병변이나 자궁경부암, 항문·생식기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고위험군이다. 이에 비해 저위험군은 대부분 양성 병변인 생식기 사마귀나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과 관련이 있지만, 일부 사마귀의 경우 많게는 수백개가 동시에 생겨 생식기나 항문을 뒤덮기도 한다.

정상인의 경우 성장해서 성생활을 시작하면 HPV에 감염될 위험도가 크게 높아진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던 여성의 절반가량이 성생활을 시작한 지 3년 이내에 HPV에 감염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파악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임신 중인 여성 24%가 HPV에 감염돼 있었으며, 이 가운데 19%가 태아에게 수직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태아의 감염 여부는 임신 기간 중에 태반검사를 거쳐 최종 진단이 이뤄졌다. 특히 HPV는 임신 초기나 중·후기 등 월령에 관계없이 태아에게 수직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이렇게 태아에게 전파된 HPV가 아이의 성장 과정에서 임상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공공과학도서관이 발행하는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

송용상 교수는 “대부분의 신생아 HPV 감염이 임상적으로는 별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게 지금까지의 의학계 견해”라면서도 “향후 HPV에 감염된 신생아를 추적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7-15 2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