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 없는 단계에서는 암 5년 생존율 90% 넘어”

“전이 없는 단계에서는 암 5년 생존율 90% 넘어”

입력 2013-10-02 00:00
업데이트 2013-10-02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암센터 암환자 62만6천명 분석 결과

암이 다른 장기에까지 퍼지지 않은 단계에서 일찍 발견될 경우 생존율이 대부분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는 2006~2010년 5년동안 새로 8대 주요 암 진단을 받은 20세이상 성인 62만6천506명을 대상으로 2011년말까지 생존 여부를 추적,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조사 대상 암은 위·갑상선·대장·폐·간·여성유방·전립선·자궁경부암 등 8가지였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우선 암이 처음 생긴 부위에만 머물고 장기 경계선 밖으로 퍼지는 않은 ‘국한(Localized)’ 단계일 경우 위·대장·여성유방·자궁경부·전립선·갑상선암의 5년 상대생존율이 모두 90%이상으로 집계됐다.

5년 상대생존율은 같은 연령대 일반인과 비교한 5년간의 생존율로, 만약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비슷한 나이 일반인과 생존 가능성이 같다는 뜻이다.

이런 국한 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진 폐암과 간암의 5년 상대생존율도 40%를 넘었다.

암이 처음 나타난 부위를 벗어나 주위 장기·조직에 직접 침범한 ‘국소(Regional)’ 단계로 넘어가도 전립선·갑상선암의 상대생존율은 여전히 90%를 웃돌았다. 여성유방(89.2%)·대장(78.0%)·자궁경부암(70.9%) 역시 70%이상 비교적 높은 생존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암이 완전히 다른 장기까지 퍼져 자라는 ‘원격전이(Distant)’가 진행되면, 5년 상대생존율은 ▲갑상선암 69.1% ▲전립선암 36.4% ▲여성유방암 32.2% 등으로 떨어졌다. 폐암과 간암의 경우 각각 4.8%, 2.5%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암에서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5년 생존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전립선암의 경우 특이하게 20~49세 젊은층의 생존율이 다른 연령대를 밑도는 특징을 보였다.

성(性)에 따른 생존율 차이도 크지 않았으나 폐암은 여성(25.4%)이 남성(17.5%)보다, 대장암은 남성(74.5%)이 여성(69.9%)보다 생존 가능성이 다소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진수 국립암센터 원장은 “국가암등록 통계사업 자료를 활용한 병기별 생존율은 국가암관리사업 평가의 근거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조기 검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