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도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 안전성 논란

서울시에서도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 안전성 논란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소득층부터 지원’ 주장…市 “부작용 책임 우려”

서울시에서도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두고 논쟁이 일고 있다.

접종 필요성에 대한 주장과 부작용 우려가 팽팽하게 맞선다.

일부 서울시의원들과 의학계에선 저소득층 젊은 여성부터라도 접종을 서울시 비용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서울시는 안전성 논란이 있어 섣불리 결정하기 어렵다며 주저하고 있다.

국내에서 자궁경부암 백신이 승인된 것은 2007년으로, 선택 접종으로 시작했다. 백신은 서바릭스와 가다실 두 종류가 있으며 접종비는 15만∼20만원으로 비교적 비싸다.

자궁경부암 백신이 처음 도입됐을 때 의학계는 접종을 적극적으로 권장했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 여성에게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우리나라 역시 10만명 당 10.5명꼴로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부인종양학회 등은 18∼26세의 여성이 백신을 접종하면 자궁경부암을 80%까지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잘 팔리던’ 백신에 논란이 일기 시작한 것은 올해 6월 일본에서 1천968건의 급성파종성뇌척수염 등 부작용이 발생해 당국이 접종 권유 제한지침을 내리면서부터다.

국내에서도 14건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자 우리 정부도 안전성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접종을 권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가 다시 백신에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고, 의학 관계자들이 동의하면서 새누리당 길정우 의원은 지난달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을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포함하는 내용의 관련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런 가운데 김광수(민주당) 서울시의원은 생활보호대상자와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 10대 여성부터라도 서울시가 접종을 지원해야 한다고 시에 건의했다.

김 의원은 “미국, 호주 등 35개국이 9∼16세 여성에게 자궁경부암 백신을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WHO에서 안전하다고 밝힌만큼 시 지원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3일 밝혔다.

서울 10대 기초생활수급자에 접종비를 지원하는 데 드는 예산은 52억9천만원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서울시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입장과 마찬가지로 부작용이 발생하면 책임이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 복지건강실 관계자는 “무엇보다 아직 안전성 논란이 있는데 시가 선뜻 먼저 지원하기 어렵다”며 “국가와 마찬가지로 시 보건소에서도 접종 여부를 상담하면 ‘NCND(긍정도 부정도 아님)’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