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열어라… “지켜야 잡는다” 감기약 먹는 법

귀! 열어라… “지켜야 잡는다” 감기약 먹는 법

입력 2013-11-11 00:00
업데이트 2013-1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교차가 10도 이상 벌어지는 변덕스러운 환절기 날씨 탓에 유난히 감기 환자가 많다. 당연히 감기약 복용이 많아지지만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된다. 약효가 반감되거나 특정 성분 과잉으로 부작용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감기약에도 기본적인 복용 상식이 있다.

■초기에 복용하되 일주일 안 넘겨야 감기약은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 복용해야 호흡기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감기약은 치료제가 아니어서 증상이 개선되면 복용을 멈춰도 되지만 감기 후유증으로 인한 세균 감염 때문에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면 내성균이 우려되므로 끝까지 복용하도록 한다. 또 별다른 증상 없이 열만 날 때는 소염진통제보다 해열진통제를 선택하는 게 좋다. 감기약을 일주일 이상 복용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전문의를 만나 정확한 원인을 찾아봐야 한다.

■감기약 성분 꼼꼼히 따져 중복 복용 피해야 콧물, 기침, 발열 등 감기 증상은 다양하지만 모두 바이러스로부터 몸을 지키면서 나타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이럴 때 흔히 찾는 종합감기약은 일반적인 증상을 줄여 주지만 다양한 성분이 포함돼 뜻밖의 부작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대부분의 감기약에는 진통제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따로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 콧물이나 재채기를 줄여주는 항히스타민제는 전립선비대증,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맥박을 촉진하고 졸음을 유발하므로 갑상선 질환자나 운전 등 집중력이 필요한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 감기약을 먹을 때는 멀미약도 안 먹는 게 좋다.

■감기약 복용 땐 유제품, 카페인 자제해야 약은 체온과 비슷한 미지근한 물로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음료수나 차의 탄닌 성분은 약물을 흡착해 약효를 떨어뜨리며 우유 등 유제품의 칼슘은 약 성분의 흡수를 방해한다. 또 종합감기약은 카페인이 든 것이 많으므로 임산부는 복용 전에 반드시 의사, 약사와 상의해야 하며 청소년은 카페인과 항히스타민제가 없는 종합감기약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곽혜선 이화여대 약학과 교수는 “감기약이 필요할 때는 증상은 물론 복용 중인 약이나 질환, 체질상의 특성 등을 의사, 약사에게 알려 자신에게 맞는 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11-11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