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척추골절도 성형 그래도 예방이 최선

[굿모닝 닥터] 척추골절도 성형 그래도 예방이 최선

입력 2013-11-18 00:00
업데이트 2013-11-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균 수명이 늘면서 노인성 척추 질환도 부쩍 늘었다. 특히 찬바람이 부는 가을과 겨울 사이에는 허리를 삐끗해 응급실을 찾는 노인이 유난히 많다. 젊은 사람이야 넘어져도 대부분 별일 없지만 노인들은 골다공증으로 뼈가 약해져 있어 쉽게 골절로 이어진다.

이 중 척추 골절은 보통 갈비뼈가 지탱하는 등에서 갈비뼈가 없는 등의 아랫부분으로 바뀌는 곳에서 잘 생긴다. 이런 골절이 생기면 2주 정도 자세를 고정해 유지하다가 보조기를 이용해 앉고 서는 훈련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다. 하지만 통증이 계속되거나 약해진 뼈가 계속 주저앉는 압박골절이 오는 경우도 잦다. 또 계속 누워 있어야 해 대소변이나 음식 섭취가 어렵고 폐렴, 욕창 등의 합병증 우려도 따른다.

이런 문제 때문에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법이 개발됐다. 바로 척추성형술이다. 쉽게 말해 생체용 시멘트를 액체 상태로 갠 다음 주사기로 망가진 척추 내에 주입하는 치료법이다. 부분 마취 상태에서 비교적 간단하게 시술할 수 있으며 효과도 즉각적이고 드라마틱하다. 하지만 자칫 시멘트가 새거나 시술 후 재골절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경험 많은 전문의를 선택하는 것이 치료를 잘 받는 중요한 팁이다.

골절도 예방이 최선이다. 그러려면 정기적인 골밀도검사, 적절한 운동과 영양 섭취로 뼈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골다공증 약을 꾸준히 먹어도 골절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골다공증이 의심되면 미루지 말고 전문의의 진단을 받을 것을 권한다. 만약 65세 이상 고령자가 허리에 충격을 받은 뒤 다리보다 허리에 통증이 나타나면 골절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런 통증은 옆구리나 배의 통증을 동반하며 움직이면 시큰거리는 등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골절도 심해지기 전에 치료를 받으면 후유증 걱정을 덜 수 있다.

안용 서울우리들병원장

2013-11-18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