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척추에 생긴 風 ‘척수증’… 수술이 정답

[굿모닝 닥터] 척추에 생긴 風 ‘척수증’… 수술이 정답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흔히 디스크병은 허리나 목이 아프면서 팔다리가 당기거나 저린 증상을 유발하며, 대부분 비수술적인 치료로 해결할 수 있다고 알고 있다. 그러나 척추병 중에는 원인도 다르고,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치료도 되지 않는 병이 있다. 바로 ‘척수증’이다.

인체의 중심인 척추 내부에는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이 혼재되어 있다. 대부분의 디스크병은 말초신경이나 신경 뿌리에서 압박과 염증반응을 일으켜 증상이 나타난다. 이런 경우라면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압박과 염증반응을 줄이면 증상이 개선된다. 그러나 중추신경이 심하게 압박돼 내부에서 변성이 진행되는 척수증이라면 얘기가 다르다. 이런 상태에서는 몸의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이 마비돼 하지나 사지가 마비될 수도 있다. 뇌졸중이나 풍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흡사하다. 치료법도 선택의 여지가 적다. 더 이상 마비가 진행되기 전에 수술로 감압을 해야만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일단 마비가 고착화하면 수술을 해도 예후가 좋지 않다.

특히 목에 생긴 경추 척수증이 문제다. 경추 척수증 환자의 특징은 점진적으로 하체 힘이 약해져 보행에 어려움을 겪고 균형 잡기가 힘들어진다. 손의 힘이 약해지는 경우도 있다. 많은 척수증 환자들이 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하는데, 이는 오히려 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실제로 척수증의 진단이 늦어 이미 사지마비가 진행된 후에 응급수술을 받는 경우도 많다. 당연히 예후는 좋지 않다.

일단 척수증 진단을 받으면 뇌졸중이나 척추의 풍으로 여겨 가능한 한 빨리 수술적 치료가 가능한지를 전문가와 상의하기를 권한다. 단순 디스크병은 말초신경(신경근)에 생긴 병으로 비수술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척수증은 중추신경에 생긴 병으로,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라는 게 큰 차이점이니 꼭 기억하기 바란다.

안용 서울우리들병원장

2013-12-02 2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