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반응 고장이 만성 축농증 유발”

“면역반응 고장이 만성 축농증 유발”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밝혀

국내 연구진이 만성 축농증(부비동염)의 발생 원인을 찾아냈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용주 교수와 대학원 의학과 김헌식 교수팀은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축농증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자연살해세포는 세포질 과립을 방출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 등 표적세포를 죽이는 데 관여하는 면역세포다.

연구팀은 축농증 환자 18명과 정상인 19명에게서 말초혈액을 분리한 뒤 두 실험군의 자연살해세포 기능을 비교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표적세포 ‘221’을 투입하자 정상인의 자연살해세포는 24%가 반응한 데 비해 축농증 환자의 반응률은 10%에 그쳤다. 연구팀은 “이는 표적세포를 공격하는 축농증 환자의 세포질 과립 방출 기능이 정상인보다 50% 이상 떨어졌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재발성 중증 축농증 환자일수록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장애가 심했다. 환자 18명을 재발성 중증 8명, 경증 10명으로 나눠 자극한 결과 재발성 중증환자는 표적세포를 공격하는 ‘IFN감마’와 ‘TNF알파’를 경증환자보다 훨씬 적게 만들었다. 재발성 중증환자의 IFN감마 발현율은 7%로 경증 환자(14%)의 50%, 정상인(28%)의 25% 수준에 그쳤다. TNF알파 역시 재발성 중증환자(10%)가 정상인(18%)과 경증환자(12%)보다 떨어졌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12-02 2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