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억울한 ‘나쁜 콜레스테롤’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억울한 ‘나쁜 콜레스테롤’

입력 2013-12-23 00:00
업데이트 2013-12-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름이 문제입니다.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하게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이름을 붙여 놓으니 모든 사람들이 LDL을 마치 벌레 보듯 합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상당한 오해가 개입돼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중장년층의 고민거리인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은 피가 뭉친 혈전이 문제지요. 이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의 기저질환인 동맥경화는 혈관이 본래의 신축성을 잃고 경직되는 현상인데, 이렇게 생동감을 잃은 동맥 벽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같은 지질류가 쉽게 엉겨붙어 피의 통로인 혈관을 좁히거나 틀어막아 문제가 됩니다.

아시다시피 콜레스테롤은 밀도를 기준으로 ‘좋은 콜레스테롤(HDL)’과 ‘나쁜 콜레스테롤(LDL)’로 나뉘는데, HDL은 체내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LDL은 인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지요. 이렇게 기능이 나눠져 있어 LDL이 콜레스테롤을 계속해서 운반하려다 보니 섭취량이 과잉하면 당연히 혈관에 쌓이게 되는 것입니다. 알고 보면 LDL은 자신에게 부여된 과업을 충실히 할 뿐이고, 그 역할이 인체 기능에 꼭 필요한데도 굳이 이를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이름을 붙여 놨으니 억울할 법도 합니다.

따지고 보면, LDL이나 중성지방이 동맥경화의 원인이라는 인식에도 오류가 있습니다. 이들보다는 체내의 활성산소가 근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지요. 이 활성산소가 LDL이나 중성지방과 결합해 만드는 과산화지질이 바로 혈관의 노화나 손상의 핵심입니다. 그러니 활성산소만 없으면 될 일인데 사람이 숨 쉬고 활동하는 한 이걸 안 만들 방법은 없습니다. 인체가 수행하는 생리적 대사활동의 부산물이 바로 활성산소이니까요. 따라서 활성산소를 안 만들 방법은 없지만 양을 줄일 수는 있습니다.

젊어서야 어떻게든 별문제가 안 되지만 나이 드신 분들은 무리한 신체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활성산소를 줄이는 한 방법입니다. 격렬하게 운동할 때 가쁜 호흡으로 양껏 빨아들인 산소가 몸속에서 다 쓰이지 못하면 바로 활성산소로 남으니까요.

jeshim@seoul.co.kr

2013-12-23 2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