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소울 푸드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소울 푸드

입력 2013-12-30 00:00
업데이트 2013-12-30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몸의 허기는 음식으로 해결하지만 영혼의 허기는 어떻게 채울까. 물론 정답은 없다. 사람마다 영혼의 허기를 달래는 방법이 제각각인 탓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모두의 영혼을 배부르게 하는 음식, 이를테면 몸에 좋아 영혼까지도 기분 좋은 포만에 이르게 하는 음식이 있다. 바로 소울푸드(soul food)라는 것이다. 소울푸드라고 어렵게 여길 건 없다.

현대인은 쫓기며 산다. 아무리 일을 해도 끝이 보이지 않는 무망함은 체념으로 이어지며, 이 체념의 끝에는 ‘그렇게 해도 이뤄지는 건 없구나’라는 절망감이 도사리고 있다. 이렇듯 바쁘면서도 끝이 보이지 않고, 그러면서 별다른 성취감도 얻지 못하는 삶을 살다 보니 좋은 음식을 편하게 먹고살 수가 없다. 바쁘다 보니 이것저것 가려 먹을 상황도 아니지만 어쩌다 입맛에 맞는 음식을 찾아가 먹어도 배만 부를 뿐 영혼의 주림까지는 해소하지 못한다. 이런 탓에 ‘집밥’을 소울푸드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집에서 먹는 밥이 항상 소울푸드라고 보기는 어렵다. 중요한 것은 집밥에 따르는 ‘조건’이다. 먼저 상업적 목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식재료가 아니어야 한다. 가공되고 변질된 그런 유의 식재료에서 소울을 찾기 어렵다는 건 모두가 안다. 또 다른 조건은 삶의 의미가 살아 숨 쉬는 밥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임금의 수라도 따뜻한 단란이 없다면 하찮은 배불림일 뿐이고, 걸인의 허접한 식사도 누군가와 온기를 나누며 먹는다면 수라 못지않게 따뜻한 밥이다.

숨 돌릴 겨를도 없이 살아야 하는 지금의 세상에서 몸 하나 건사하기도 어려운데 어찌 영혼까지 챙기느냐고 말할지 모른다. 그러나 소울푸드를 비용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고 치부하는 것이 오히려 문제다. 물론 가공된 식재료와 상품화된 메뉴에 익숙해진 터라 습관을 고치는 데 얼마간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그런 불편만 감수할 수 있다면 더 쉽고 더 싸며, 더 맛있어 영혼까지 배 불릴 수 있는 건강한 소울푸드 식단을 실천할 수 있다. 얼마간 잊고 살았을 뿐 소울푸드는 본래의 우리의 생활이었고 삶이었기 때문이다.

jeshim@seoul.co.kr

2013-12-30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