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을 말하다-위장관기질종양(하)] 다른 암과 어떻게 다른가

[암을 말하다-위장관기질종양(하)] 다른 암과 어떻게 다른가

입력 2013-12-30 00:00
업데이트 2013-12-30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막이나 혈행 전이 많아… 종괴 커지면서 주변 장기 파고들어

기스트는 다른 암과 달리 주변 림프절로의 전이가 드문 대신 복막전이 및 혈행전이를 하는 특성을 보인다. 또 종괴가 매우 크게 자라 원발부위 외에 주변 조직이나 장기로 침윤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기스트는 다른 위장관 암종과 달리 원발 장기의 침윤 정도나 림프절 전이가 치료방침 결정이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보다는 간·복막 등 원격장기로의 전이 여부가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며, 원격전이가 없다면 종괴의 크기와 세포분열의 수가 재발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통용된다.

게다가 기스트는 위암·폐암 등 다른 암과 달리 현미경적으로 악성 여부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크기나 세포분열의 수 등 몇 가지 특징을 보고 악성도를 가늠할 뿐이다. 또 이런 악성 인자를 갖지 않았어도 드물게 절제수술 후에 재발하기도 한다.

문제는 카잘세포이다. 기스트는 위장관 벽의 카잘세포에서 시작되는데, 이 세포는 식도·위·소장·대장은 물론 복막에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위장관이 아닌 복막에서 기스트가 발생하기도 한다. 강윤구 교수는 “기스트는 자궁에서는 원발하지 않지만 자궁도 복막으로 덮여 있어 자궁 근처에서 발생할 경우 자궁에서 시작된 것인지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이때문에 이전에는 골반 부위에 생긴 종양의 경우 부인과 수술 때 간혹 진단을 놓치기도 했으나 지금은 대부분의 부인과나 병리과 의사들이 이런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 문제가 되는 일이 별로 없다”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12-30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