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어야 망막박리? 한국선 20대 발병 잦아

나이 들어야 망막박리? 한국선 20대 발병 잦아

입력 2013-12-30 00:00
업데이트 2013-12-30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만명당 8.5명… 근시 탓

근시가 많은 한국인은 젊은 나이에 망막박리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이에 비례해 발생률이 높아지는 서양인과는 다른 발생 추이여서 주목된다. 망막박리란 망막에 구멍이 뚫려 액상의 유리체가 망막 아래로 흘러들어가 시세포가 망막 색소상피세포에서 분리되는 질환이다. 대부분 돌발적으로 발생하며, 바로 수술을 하지 않으면 대부분 실명에 이르게 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팀과 서울대의대 의학연구협력센터 최남경 교수팀은 2007~2011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인구 10만명당 10.39명꼴로 망막박리가 발생하며, 64~69세(10만명당 28.55명)와 20~29세(10만명 당 8.5명) 연령대에서 발생률이 크게 높은 양상을 보였다. 망막박리가 나이에 비례해 증가하는 서양의 분석과는 다른 추이다. 실제로 네덜란드의 경우 망막박리 평균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18.19명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약 57%가 높고, 64~69세 발생률도 48.95명으로 2배가량 높지만 20~29세의 경우 3.5명으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우세준 교수는 “50~60대의 망막박리는 노화와 관련이 깊지만, 20대에 발생하는 망막박리는 대부분 근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근시에 따른 유리체 박리가 망막박리를 유발하는 주요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우 교수는 “만약 고도 근시를 가진 사람이 꾸준히 시력이 떨어지고 망막박리의 전조 증상인 시야가 번쩍거리는 광시증이나 먼지 같은 것이 떠다니는 비문증이 나타나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원인을 알아봐야 한다”고 권고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12-30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