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도 이제는 복강경 수술이 대세”

“대장암도 이제는 복강경 수술이 대세”

입력 2014-08-05 00:00
업데이트 2014-08-05 1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흔히 외과적 수술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대장암 치료에서도 복강경 수술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개복수술 비율은 2009년 50%이던 것이 지난해 현재 22%로 줄었다. 흉터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암수술 분야에서도 구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대장암센터 김희철·윤성현·박윤아 교수팀은 최근 4년간 대장암과 직장암 수술을 분석한 결과, 복강경 수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장암 수술 중에서도 복강경 수술은 2009년까지 50%를 밑돌았지만 2013년에는 전체 수술 10건 중 8건에 이를 정도가 됐다. 반면에 전통적 수술방식인 개복술은 2009년 50.5%로 절반을 넘었지만 2013년에는 22.3%에 불과할 정도로 비중이 낮아졌다.

 특히 복강경 수술 중에서도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 싱글포트 수술이 비약적 성장세를 이뤘다. 2009년만 하더라도 전체 수술 건수 대비 0.7%에 불과했던 싱글포트 수술이 2013년에는 29.5%에 이르렀으며, 2012년부터는 개복수술 건수를 앞질렀다.

 싱글포트 수술은 복부에 작은 구멍을 한 개만 뚫어 큰 수술을 진행하는 만큼 술기가 까다롭고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없지 않아 보급이 더뎠지만, 이런 문제가 해소되면서 이제는 보편화 단계에 이르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처럼 싱글포트를 포함한 복강경 수술이 확산되는 것은 기존의 개복수술에 비해 효과는 차이가 없으면서도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르기 때문. 개복수술의 경우 15~20cm 정도의 큰 흉터를 남기지만 복강경은 보통 3~4곳에 1cm 내외의 절개창만 내면 된다. 특히 싱글포트 수술은 배꼽 부위 한 곳만 약 1.5~2.5cm 정도 절개하고 수술하기 때문에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다. 입원 기간도 개복술에 비해 2~3일이나 짧다.

 삼성서울병원 대장암센터 김희철 센터장은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진단부터 치료 전 과정을 환자 중심의 협진 시스템을 중심으로 하는 치료 프로세스를 확립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싱글포트 등 무흉터 수술을 발전시켜 환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이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