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예방 ‘검증된’ 모기기피제는 임신부도 안전”

“지카예방 ‘검증된’ 모기기피제는 임신부도 안전”

입력 2016-02-29 11:44
업데이트 2016-02-29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이이티·이카딘 성분 효과…모유로 지카 전염 가능성 작아

지카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모기 기피제를 사용할 때는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성분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국내 감염병 전문가들이 권고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염준섭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9일 서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재갑 교수는 “임신부 중 일부는 모기기피제에 독성이 있다는 이유로 꺼리고, 검증되지 않은 다른 제품을 사용할 수가 있다.”며 “그런 제품은 모기 종류에 따라 일관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워 권장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모기에만 영향을 미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퇴치기’ 등도 효과가 증명되지 않았다고 이 교수는 덧붙였다.

현재 국내에는 모기기피제로 디이이티(DEET), 이카딘(Icardin) 등 성분이 허가받아 유통되고 있다. 이들 성분은 모기 기피효과가 있고 임신부와 태아에게도 안전하다고 두 전문가는 덧붙였다.

이들은 지카바이러스의 잠복기가 2년이라거나, 국내에 서식하는 ‘흰줄숲모기’에 물리기만 하면 걸린다는 등의 유언비어는 전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지카바이러스의 잠복기는 약 보통 2∼7일(최대 14일)로 최대 1개월 내에 혈액, 소변, 침 등에서 바이러스가 사라진다.

모유에 지카바이러스가 포함된 사례가 보고된 적이 있으나, 모유를 통해서 아기에게 전염되기에는 모유 내 바이러스 양이 적고 감염 조건 등이 까다로워 확률은 높지 않다고 염준섭 교수는 설명했다.

두 전문가는 지카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전파할 가능성이 분명히 있으나, 근시일 내에 이런 일이 발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흰줄숲모기에 물린다고 바로 감염되는 것이 아니며, 모기의 개체 수도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일본 도쿄에서 발생한 ‘뎅기열’ 확산 사례처럼 국지적인 전파 사례는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