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다리 저려 잠 못 든다면… ‘도파민’ 이상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다리 저려 잠 못 든다면… ‘도파민’ 이상

입력 2016-04-10 17:44
업데이트 2016-04-10 17: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지불안증후군은 주로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들고 이상 감각과 초조함을 느끼는 질환이다. 밤에 증상이 특히 심해 수면장애까지 올 수 있지만 병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리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공급되지 않거나 말초신경증과 같은 신경손상, 당뇨병, 빈혈, 신장병, 전립선염, 방광염 등의 합병증으로 생길 수도 있다.

하지불안증후군이라고 해서 반드시 다리 쪽에만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어깨 등에도 증상이 생길 수 있고 간혹 코끝에 이런 증상이 생긴 환자도 있다. 가만히 휴식을 취할 때 오히려 불쾌감이 더 심하고, 움직이면 증상이 일시적으로 완화된다.

고혈압, 암, 심혈관계 질환, 불면증이 있는 환자가 하지불안증후군을 동시에 겪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조기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치료는 증상의 중등도에 따라 결정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밤에 가끔 나타나는 경증에는 약물치료보다는 비약물적 치료를 권한다. 발·다리 마사지, 족욕, 가벼운 운동을 하면 증상이 완화한다. 수면장애까지 있는 중증 환자는 수면의학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게 좋다.

약물은 도파민제를 복용한다. 복용 후 하루 만에 효과가 나타나기도 하고 대개 1~2주면 증상이 상당히 호전된다. 하지만 장기간 약을 복용하면 약 효과가 떨어지거나 드물게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이 오히려 악화하기도 해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해 복용해야 한다.

■도움말 정석훈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2016-04-11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