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으로 잡는 건강] 전통의학도 AI 열풍…복합 작용 분석 활용

[한방으로 잡는 건강] 전통의학도 AI 열풍…복합 작용 분석 활용

입력 2016-05-01 17:34
업데이트 2016-05-01 1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기술이 곧 의료 분야에서도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첨단 기술을 통한 의료 분야의 혁신은 서양의학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일본 도쿄대, 중국 칭화대의 유수한 연구진이 첨단과학을 활용한 전통의학의 혁신 방안을 연구 중이며 국내에서도 이런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한약의 다양한 성분 간 복합작용을 분석하는 데도 첨단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 기술로 알레르기 비염 치료에 사용하는 ‘마황부자세신탕’이란 한약은 43가지 복합성분이 면역·염증과 관련된 30여가지의 인체 내 분자 표적에 동시다발로 작용해 비염 증상을 개선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정교하게 한약의 효과를 인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약은 환자의 체질과 증상에 맞춰 처방하지만 이 약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떻게 효과를 내는지는 환자들이 알 수 없었다. 첨단과학기술로 한의사들은 한약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고 환자는 한약을 더 잘 이해하게 됐다. 실제 한의학 치료 현장에도 이런 기술이 적용될 날이 머지않았다.

■도움말 정창운 한의사

2016-05-0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