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갑작스레 늘어난 새치, 탈모 신호일 수도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갑작스레 늘어난 새치, 탈모 신호일 수도

입력 2016-07-10 21:52
업데이트 2016-07-10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령 증가할수록 여성 탈모 빈도 늘어, 치료제 6개월 뒤 효과… 인내심 필수

과거 탈모는 일부 중년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한 ‘국민 질환’으로 자리잡았다. 나이가 어리다고, 여성이라고 탈모가 비켜 가지는 않는다. 남성 탈모는 이마와 모발의 경계선이 뒤쪽으로 밀리면서 알파벳 M자 모양으로 이마가 넓어지지만, 여성은 가르마나 정수리 부위부터 탈모가 시작돼 더 진행되면 머리 중심부 모발이 가늘어지면서 크리스마스트리 모양으로 탈모가 생긴다. 하지만 두피가 반질반질해질 정도로 완전하게 탈모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

탈모는 모낭이 약화해 휴지기 모발이 늘고 모발 생장 기간이 줄면서 발생한다. 여성형 탈모증은 보통 유전되며, 유전적 소인이 없어도 부신이나 난소에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을 과도하게 분비하는 종양이 생겨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성형 탈모증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여성형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보다 치료하기가 어렵다. 이미 탈모가 많이 진행된 상태에선 치료해도 눈에 띄게 좋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모낭이 위축되기 전 조기에 치료해야 탈모 진행을 막을 수 있다. 치료 효과가 좋으면 모발이 굵어지면서 머리카락이 새로 자라기도 한다.

일반 사람도 하루 50~70개의 모발이 빠지지만 모발이 점점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지면서 하루 100개 이상씩 꾸준히 빠진다면 탈모 증상이 시작됐음을 알리는 신호로 봐야 한다. 갑작스럽게 늘어나는 새치도 문제다. 새치는 모낭의 멜라닌세포 수가 줄어들거나 색소 합성에 필요한 효소의 활동성이 감소하고 멜라닌세포 합성 능력이 떨어질 때 생긴다. 새치가 났다는 것은 모근과 모낭 주변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멜라닌세포로 영양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신호인 만큼 탈모를 조심해야 한다.

탈모 치료에는 미녹시딜 용액을 쓴다. 이 용액을 탈모 부위에 바른다. 탈모 치료 효과는 6개월 이후 나타나고, 1년 이상 치료해야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치료를 중지하면 2개월 후에 다시 서서히 탈모가 진행되므로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

■도움말 최지호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
2016-07-11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