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관절염 복병 에어컨 찬바람 주의해야

여름철 관절염 복병 에어컨 찬바람 주의해야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7-17 17:36
업데이트 2016-07-17 1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

관절염을 흔히 ‘겨울의 불청객’이라고 부른다. 찬바람이 관절 내 압력을 높여 염증 부위 부종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절염 환자들은 대개 겨울나기를 힘들어한다. 그러나 여름에도 복병이 있다. 바로 에어컨 때문이다. 17일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에게 여름철 관절염 대처법을 들었다.

이미지 확대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
Q. 여름철 관절염 원인은.

A. 에어컨 바람에 장시간 노출되면 체온이 떨어져 관절 주위 근육이 경직되고 관절이 뻣뻣해집니다. 뼈와 뼈 사이의 마찰을 줄여 주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것이 관절액인데, 이것이 굳으면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 근육이 굳으면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근육과 인대를 더욱 딱딱하게 만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관절염 증상이 심해집니다.

Q.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A. 더운 여름 내내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고 지낼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에어컨 바람을 쐰 뒤에 찜질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평소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관절염의 종류에 따라 냉온 찜질을 구분해 시행해야 합니다. 우선 퇴행성 관절염은 따뜻한 온찜질이 도움이 됩니다. 연골이 닳아 뻣뻣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온찜질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고 굳은 관절을 풀어 줘야 합니다. 반면 류머티스 관절염은 주로 작은 관절에서 발생하고 통증 부위에 열감이 느껴지기 때문에 냉찜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간단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Q. 온도와 습도 관리법은.

A. 관절염 환자가 있는 가정이라면 실내 온도를 섭씨 25도로 유지하면서 바깥 기온과의 차이를 5도 이내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절의 통증을 덜어 줄 수 있도록 50% 이하로 실내 습도를 유지하고,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제습기나 습기 조절 효능이 있는 숯을 비치해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비가 잦은 시기에는 대기압이 낮아져 관절 내 압력이 높아지고 신경을 자극할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찬바람을 쐬어 시린 관절 부위는 담요를 덮어 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에어컨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 간격으로 작동한 뒤에 잠시 끄고 환기를 하거나 바깥 공기를 쐬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실내 온도와 습도 유지, 관절 찜질만으로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가급적 의료기관을 찾아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보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7-18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