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쥐發 ‘열성 질환’ 기승… 풀밭·논 활동 조심해야

들쥐發 ‘열성 질환’ 기승… 풀밭·논 활동 조심해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10-30 17:34
업데이트 2016-10-30 17: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증후군출혈열·렙토스피라증 등… 야외서 돌아오면 옷 세탁·샤워 필요

야외활동이 느는 가을철에는 고열·발진을 동반한 열성질환을 조심해야 한다.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등 이름도 생소한 가을철 열성질환은 주로 이맘때 발생하는데 감염되면 자칫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발생하는 발열성 질환이다. 한탄바이러스는 우리나라 들쥐의 72~90%를 차지하는 등줄쥐가 옮기고 서울바이러스는 도시의 시궁쥐가 전파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는 타액, 소변, 분변으로 바이러스를 분비하고 분비물이 마르면 바이러스가 먼지와 함께 공중을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된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출혈, 신부전 등이 나타나고 오한, 두통, 요통, 근육통, 안면홍조, 결막충혈 등이 발생한다. 심하면 의식을 잃거나 경련이 발생한다.

이달 들어 신증후군출혈열 환자가 크게 늘어 지난 25일까지 94명(의사·확진환자)이 감염됐다. 전월까지는 58명이 감염됐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신증후군출혈열은 올해 들어 지난 25일까지 전년 같은 기간 197건보다 94.4% 많은 383건이 발생했다. 폭염으로 한반도가 달아오르면서 매개체인 설치류의 서식지에 변화가 생긴 탓으로 보인다.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돼 생기는 렙토스피라증 역시 올해 112건이 발생해 전년 같은 기간 57건보다 96.5% 늘었다. 렙토스피라증은 균에 오염된 물과 음식을 섭취하거나 오염된 물이 피부상처, 눈, 코 점막으로 들어갔을 때 감염된다. 주로 홍수나 집중호우가 지나고 벼 세우기나 벼 베기를 할 때 감염된다. 이 질환을 전파하는 동물도 설치류다.

설치류 매개 감염을 예방하려면 산, 풀밭, 논 등 감염 위험이 높은 설치류 서식지 근처에서 야외활동을 하지 않는 게 최선이다. 야외활동 후 귀가해서는 꼭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해야 하며 비가 온 뒤 벼 베기 작업을 했는데 수일 후 발열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0-31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