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심장 비대엔 강심·이뇨·혈관확장제 등 처방… 완치 사례도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심장 비대엔 강심·이뇨·혈관확장제 등 처방… 완치 사례도

입력 2016-11-20 17:36
업데이트 2016-11-21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장은 펌프 작용을 해 우리 몸에 혈액을 순환시키면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거둬들여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장기다. 만약 심장이 커지면 수축력이 떨어져 원활하게 기능할 수 없다.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것을 ‘심비대’라고 하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점점 운동할 때는 물론 쉴 때도 호흡곤란 증상이 생긴다. 잠을 자다가 숨이 차서 깨기도 하고 피로감과 전신 쇠약감이 든다. 비대해진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순환시키지 못하면 심부전이 발생하는데, 이러면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만성피로감과 호흡곤란이 나타나면서 장기의 기능마저 떨어진다. 심부전은 급성으로 발병하기도 하지만, 대개 만성으로 진행된다.

심비대증의 원인은 판막질환, 부정맥, 심근경색 등 다양하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강심제, 이뇨제, 혈관확장제 등을 사용해 치료한다.

만약 새로운 증상이 발견되거나 쉴 때도 호흡곤란이 오고, 팔다리에 부종, 복부에 부종이나 통증이 생기고 고통스럽고 기분 나쁜 마른기침이 자주 나오면 약을 복용하고 있더라도 즉시 병원에서 적절한 진료를 받아야 한다. 한번 떨어진 심장 기능은 대체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완치된 사례도 있어 치료를 충분히 잘 받아야 한다.

■도움말 김재중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

2016-11-21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