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통분만 94%…분만실 비명이 사라졌다

무통분만 94%…분만실 비명이 사라졌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11-24 11:29
업데이트 2016-11-24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통분만이 보편화되면서 분만실 풍경도 바뀌고 있다. 산모의 출산 고통이 줄어 비명이 난무했던 분만실은 과거 드라마 장면에서나 볼 수 있게 됐다. 무통분만은 척추 속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막인 경막 바깥 쪽에 적은 농도의 국소 마취제를 주사해 감각신경만 차단시키고 운동신경은 살리는 진통법이다.

제일병원 분만실이 24일 발표한 ‘2015 무통분만 시행률’ 통계에 따르면 자연분만한 초산모 1550명을 조사한 결과 94%가 무통분만을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이 거부의사를 밝히거나 의학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산모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무통분만을 시행한다는 의미다.

2003년 이 병원의 무통분만 시행률은 3.8%에 불과했다. 무통분만의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되고 안전성이 입증돼 활용하는 사례가 늘었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윤희조 제일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통증을 10점으로 규정했을 때 산모가 느끼는 통증은 무통 분만 시술 전 약 8점에서 무통 분만 시술 20분 후 2점으로 급격히 감소했다”며 “통증에 대한 과도한 공포심과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어 스트레스 없는 편안한 분만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안현경 주산기과 교수는 “무통분만이 산모와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시행군과 비교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최근 해외연구 결과에 따르면 분만 진통을 완화하면 출산 후 나타날 수 있는 산후 우울증 위험도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무통분만은 시술부위의 감염, 출혈 경향, 심한 저혈량 등이 있는 경우 시술 전 반드시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과 진찰을 통해 시행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무통분만을 원하면 해당 병원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24시간 상주하고 있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