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 안과 검진 시기 1·3·6세를 기억하세요

내 아이 안과 검진 시기 1·3·6세를 기억하세요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11-27 17:40
업데이트 2016-11-27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용란 김안과병원장

우리 아이의 안과 검진은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정기적으로 영·유아 검진을 받고 있기 때문에 따로 안과 검진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부모가 많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영·유아 검진으로는 아이의 눈 이상을 완벽하게 밝혀내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 만 1·3·6세에 각각 한 차례 정도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27일 김용란 김안과병원 원장에게 아이의 안과 검진 방법에 대해 물었다.

이미지 확대
김용란 김안과병원 원장
김용란 김안과병원 원장
Q. 1세에 안과 검진이 필요한 이유는.

A. 1세 이하 아이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사시’ 검사가 필요하다. 사시는 안과의사, 특히 소아안과 의사의 진료를 받지 않으면 발견하기 쉽지 않다. 가급적 일찍 수술과 치료를 받으면 결과가 더 양호하기 때문에 빠른 검진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과 눈을 잘 못 맞추는 모습을 보고 병원을 방문해 망막질환, 녹내장을 확인하기도 한다.

Q. 3세에 받아야 하는 검진은.

A. 3세 소아는 어른과 달리 원시, 근시, 난시 등의 굴절 이상이 심해도 표현을 하지 않을 때가 많다. 굴절 이상을 방치하면 시력 발달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약시’가 생길 수 있다. 약시는 눈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도 교정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한쪽 눈에 원시, 근시, 난시가 있거나 두 눈에 사시가 있으면 아이는 잘 보이는 눈으로만 보기 때문에 나머지 눈은 시력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3세에는 원시, 근시, 난시 등의 굴절 이상과 약시 검사를 하고, 필요하면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대한안과학회가 어린이 약시 환자 222명을 분석한 결과 4세에 약시 치료를 시작하면 95%의 치료 성공률을 보이지만 8세에는 성공률이 23%에 그쳤다. 조기 검진으로 질환을 일찍 발견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 주는 결과다.

Q. 초등학교 입학 전 필요한 검사는.

A. 키도 어느 시기가 되면 더 커지지 않듯이 시력 성장도 멈추는 시기가 있다. 학계에서는 대체로 만 7~8세 전후까지 시력이 발달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시력 발달이 멈추기 전인 6세에 정밀 검사를 받고 문제가 있으면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간헐외사시’를 발견하면 수술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간헐외사시는 어린이 사시 환자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병으로 평소에는 눈이 바른 형태이지만 피곤하거나 졸릴 때, 화내거나 아플 때 간헐적으로 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증상을 보인다. 항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서 부모가 모르고 지낼 때가 많다.

어린이는 스스로 눈을 관리하기 어렵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평생 시력 장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모가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안과 검진은 해마다 받는 것이 좋지만, 만약 힘들다면 적어도 1·3·6세에 꼭 한 차례씩 안과전문의의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11-28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