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 수사’ 檢, 이지원 정밀분석 착수

‘사초 수사’ 檢, 이지원 정밀분석 착수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팜스 시스템 2주간 사전 조사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참여정부의 청와대 업무관리 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에 대한 분석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 김광수)는 이지원과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물 영구관리 시스템인 ‘팜스’(PALMS)를 확인하기 위해 앞으로 1~2주간 사전 조사에 들어간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검찰은 지난 주말 이지원 개발자 등을 참고인으로 불러 시스템의 구조와 열람 가능한 항목, 열람 방법 등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지원 확인을 이번 사건의 핵심 절차로 보고 있다. 당시 대통령 기록물은 ‘이지원→비서실 기록관리시스템(RMS)→이동식 하드디스크→팜스’를 거쳐 국가기록원으로 옮겨졌다.

이지원은 기록물을 최초로 생성, 관리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대화록의 실종 여부를 판단하는 잣대가 될 전망이다.

검찰은 당초 곧바로 이지원 확인 작업에 착수하려 했지만 장소에 따라 프로그램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충분한 사전준비 기간을 가진 뒤 한 번에 조사를 마치기로 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지원과 팜스 시스템을 살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면 결론을 낼 수 있을 것”이라면서 “관련 전문가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협의하며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검찰은 지난주 고발인 조사를 한 데 이어 조만간 피고발인 조사도 착수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이번 주부터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임상경 전 대통령기록관장, 김만복 전 국정원장 등을 불러 기록물의 생산·관리 경위를 추궁할 예정이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3-07-30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