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사태’ 신상훈 前사장 항소심서 벌금형으로 감형

‘신한사태’ 신상훈 前사장 항소심서 벌금형으로 감형

입력 2013-12-26 00:00
업데이트 2013-12-26 15: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백순 前행장, 1심처럼 집행유예

신한금융그룹 내부 비리 사태와 관련해 재판에 넘겨진 신상훈(65) 전 신한지주 사장과 이백순(61) 전 신한은행장이 26일 항소심에서 희비가 엇갈리는 판결을 받았다.

서울고법 형사3부(임성근 부장판사)는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신 전 사장에게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벌금 2천만원을 선고했다.

반면 이백순(61) 전 신한은행장에게는 원심과 같이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신 전 사장이 재일교포 주주 양모씨로부터 기탁금 2억원을 수수했다는 금융지주회사법 위반 혐의를 1심과 달리 무죄로 판단해 징역형을 벌금형으로 감형했다.

재판부는 신 전 사장이 고(故) 이희건 명예회장으로부터 경영자문료 이용의 포괄적 권한을 위임받아 2008년 자문료를 실제 금액보다 부풀리는 방식으로 2억6천100만원을 횡령한 혐의만 유죄로 판단했다.

이 전 행장에 대해선 김모씨로부터 기탁금 5억원을 받아 금융지주회사법을 위반한 혐의를 유죄로 인정한 1심 판단을 유지했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라응찬 전 신한지주 회장과 이백순 전 행장이 신 전 사장을 고소하면서 시작됐다”며 “고소 경위와 의도에 석연치 않은 점이 엿보이고 고소 내용도 대부분 사실이 아니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신 전 사장이 개인적 이익을 취하지 않았고 신한은행에 피해액 2억6천100만원을 공탁했으며 은행 측이 재판 도중 고소를 취하해 처벌을 원하지 않는 점을 두루 참작해 감형했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이 전 행장에 대해 “높은 청렴 의무를 부담하는 금융회사 임원으로서 거액을 수수해 국민경제에 미친 영향이 작지 않다”며 “금품을 먼저 요구하지 않았고 직무 관련 청탁이 없었던 점을 함께 고려해 항소를 기각했다”고 말했다.

신 전 사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재판부가 ‘고소가 엉터리이고 검찰의 기소도 문제가 많다’면서도 감독자로서 나에게 일말의 책임이 있는 것 아니냐고 판단한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실상 무죄 선고와 마찬가지여서 명예는 회복된 것으로 본다”며 “다만 나로서는 조금 더 입장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활동하는 데 이번 선고가 어떤 영향을 줄지 법률적으로 검토한 뒤 상고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신 전 사장은 2006~2007년 총 438억원을 부당 대출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고 2005~2009년 경영자문료 15억6천만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됐다. 2008~2010년 재일교포 주주 3명에게 8억6천만원을 받은 혐의도 적용됐다.

이 전 행장은 2008년 신 전 사장이 자문료 명목으로 조성한 비자금 15억여원 중 3억원을 빼돌려 쓰고 2009년 재일교포 주주에게 5억원을 전달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신한금융그룹의 이런 비리 사태를 일컫는 ‘신한사태’는 신한은행이 2010년 9월 신 전 사장을 검찰에 고소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3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조직 안팎의 갈등이 치유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