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교육부 ‘국정교과서 추진단’ 사무실 압수수색

검찰, 교육부 ‘국정교과서 추진단’ 사무실 압수수색

입력 2017-10-20 22:30
업데이트 2017-10-20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드·업무일지·휴대전화 등 자료 확보

‘차떼기 제출’ 인쇄소서 의뢰 내역 찾아
교육부 관계자 28명 검찰 수사 선상에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여론조작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20일 교육부 사무실과 조작된 의견서를 대량 출력한 것으로 알려진 인쇄소를 압수수색했다.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부장 김종오)는 이날 오전 10시쯤 정부세종청사에 수사관 10명을 파견,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 실무추진단과 새 정부에서 역사 수업 관련 업무를 맡은 동북아교육대책팀, 초·중등교육 업무를 하는 학교정책실 등에서 컴퓨터 하드디스크 일부와 업무일지,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서류, 직원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이 가운데 진상조사 실무추진단은 기존 역사·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을 수행했던 ‘역사교과서 정상화 추진단’ 사무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시 조직으로 출발한 역사교과서 정상화 추진단이 올해 5월 해산했지만 문재인 대통령 당선 이후 국정교과서가 대표적인 적폐로 규정되면서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정상화 추진단이 쓰던 사무실에 진상조사 실무추진단을 꾸렸다.

국정 역사교과서 국정화 여론 조사 사건과 관련해 검찰 수사선상에 오른 교육부 관계자는 모두 28명이다. 당시 역사교육추진단 관계자들이 대부분 포함돼 있다. 검찰은 이날 수사선상에 오른 직원들을 현장에서 불러 당시 추진 과정 등을 면밀히 파악했다.

검찰은 이날 오후에는 서울 여의도 인쇄업체 A사 본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장부와 인쇄 의뢰 내역이 담긴 자료 등을 확보했다. 이 인쇄소는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관련 의견 수렴 마지막 날인 2015년 11월 2일 무더기로 제출된 동일한 양식의 의견서 4만여장이 제작된 곳이다. 이른바 ‘차떼기 제출’ 논란의 진원지인 셈이다.

최근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조사 결과 교육부 문서 보관실에 보관 중인 찬반 의견서 103박스 가운데 53박스가 일괄 출력물 형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성명란에 ‘이완용’, ‘박정희’ 등 황당한 내용을 적어 넣은 의견서도 다수 발견됐다. 검찰은 무더기 제출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양모 성균관대 교수를 조만간 소환해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지난 12일 양 교수와 ‘올바른 역사교과서 국민운동본부’, 찬성의견서에 대한 심야 계수를 지시한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 김모(퇴직)씨 등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7-10-2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