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떨어진 쥐들 텔레파시 교감

수천㎞ 떨어진 쥐들 텔레파시 교감

입력 2013-03-02 00:00
업데이트 2013-03-02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듀크대 ‘생체 컴퓨터’ 입증… 전신마비 등 치료 도움 기대

수천㎞나 떨어져 있는 쥐들이 뇌를 연결해 생각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텔레파시를 전달할 수 있는 ‘생체 컴퓨터’의 가능성이 입증된 것이다. 이 기술을 사람에게 적용하면 배우지 않은 언어나 학습 내용을 공유하거나 전신마비 환자들이 생각만으로 보조장치나 로봇을 움직일 수도 있을 전망이다.

뇌파연구의 권위자인 미겔 니코렐리스 미 듀크대 교수는 국제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쥐 두 마리의 뇌에 미세전극을 삽입, 연결하자 서로 신호와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쥐 한 마리에게 빨간 불이 켜지면 지렛대를 누르도록 하고, 제대로 하면 물을 주는 방식으로 훈련시켰다. 다른 한 마리는 전기자극을 받으면 지렛대를 누르도록 가르쳤다. 이어 첫 번째 쥐의 뇌에 빛을 감지하는 미세전극을 이식하고, 두 번째 쥐의 뇌에는 첫 번째 쥐의 뇌 활동을 감지하는 전극을 이식해 전선으로 연결한 뒤 두 마리를 격리시켰다.

그 결과 첫 번째 쥐가 빨간 불에 반응을 보여 지렛대를 누르면 다른 한 마리도 같은 행동을 통해 물을 얻었다. 첫 번째 쥐의 문제해결 방식을 두 번째 쥐가 뇌를 통해 전달받은 것이다. 두 번째 쥐가 지렛대를 누르지 못할 경우 첫 번째 쥐에게도 물을 주지 않자, 더 적극적으로 신호를 보내기도 했다. 연구팀은 미 노스캐롤나이나의 듀크대 연구실의 쥐와 브라질 나탈대 연구실의 쥐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진행한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의 신호 전달 성공 확률은 70% 정도였다. ‘생체-생체’ 간 실험에서 직접적인 신호 전달이 입증된 것은 처음이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3-0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